유현준 홍익대 교수가 밝힌 '마천루 심리학'공간에 대한 소유욕 충족…보안장치 신비감·우월감도자신은 노출 않은 채 타인을 내려다보는 '관음증적 현상'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1층에 사는 사람의 시점이 '사람'이라면 100층에 사는 사람의 시점은 '신'이라 할 수 있다.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그 공간을 소유하고 있다고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공간에 대한 권력욕. 이것이 바로 펜트하우스에 살고 싶도록 하는 가장 큰 이유다." '왜 펜트하우스에 살고 싶어 할까'에 대한 답을 듣기 위해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의 저자 유현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를 만났다. 서울 논현동에 있는 그의 건축사사무소에서다. 그는 부자들의 펜트하우스 선호 원인 중 하나로 '공간에 대한 권력욕'을 꼽았다. 유 교수는 "펜트하우스 선호는 자기는 안 보여주면서 다른 사람들을 볼 수 있는 일종의 관음증적 현상"이라며 "그것을 할 수 있고, 가능하게 해주는 공간이자 이 공간에 대한 권력을 가졌다고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펜트하우스"라고 설명했다.그는 기존 '스카이라인'보다 높은 위치와 전망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큰 창문이 펜트하우스의 필수 요소라고 봤다. 저층 아파트에 살면서 안에서만 밖을 볼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한다고 해서 흔히 말하는 펜트하우스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유 교수는 "2층에 있으면 건너편 건물에 가려서 주변이 잘 안 보인다. 반면 높이 올라갈수록 시각적 '체적'이 올라간다"며 "높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보이는데 이때 사람들은 보이는 공간을 내가 소유하고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더 좋은 전망을 위해선 창문의 크기도 중요하다. 아무리 사방이 뻥 뚫려 있어도 외부를 볼 수 있는 창문이 작다면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뉴욕에 있는 펜트하우스의 경우 복층 구조가 많다. 층고가 높으면 더 큰 창문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각종 보안 장치들을 갖춰 일반인들은 들어가기 힘든 구조를 갖췄다는 점은 펜트하우스의 신비감을 증폭시키는 요소다. 유 교수는 "'다른 사람은 못 들어가는 공간에 나는 들어갈 수 있다'는 것 또한 펜트하우스에 사는 사람들이 느끼는 만족감 중 하나"라며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것에 대한 우월감을 통해 얻는 쾌락이 보안장치를 통과하는 불편함보다 큰 것"이라고 말했다. 펜트하우스는 도심에서 발생하는 소음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지면에서 떨어질수록 자동차 경적 소리 등 각종 소음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펜트하우스가 부자들의 선호 대상이었던 것은 아니다. 펜트하우스란 쉽게 말하면 꼭대기 층이므로 걸어 올라가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 탓에 꼭대기 층은 동화 속 '신데렐라'나 '소공녀' 등 하녀들이 사는 일명 다락방으로 불렸다. 유 교수는 엘리베이터의 발명이 다락방들의 변신을 가능케 했다고 봤다. 그는 "엘리베이터가 있기 전에 가장 좋은 층은 홍수를 피할 수 있고 각종 소음과 냄새를 어느 정도 피할 수 있는 2층이었다"며 "하지만 엘리베이터 덕분에 꼭대기 층의 단점이 기술적으로 해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현준 홍익대 교수
이어 "펜트하우스가 많은 뉴욕에 기존 스카이라인보다 높으면서도 좁은 '탑' 형태의 건물이 조만간 들어설 예정"이라며 "엄밀히 말해서 펜트하우스는 아니지만 꼭대기 층 펜트하우스는 공급이 부족하다 보니 사방을 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와 유사한 형태의 건물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우리나라의 펜트하우스 미래에 대해서는 "급격하게 증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주변보다 솟아오른 타워형 주상복합 형태에서 펜트하우스가 나타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아파트로 회귀하는 경향에다 판상형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한계"라며 "다만 국내 초고층 빌딩 건축이 증가함에 따라 뉴욕처럼 층고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