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모델 중 3개 모델 연비 50%이상 과장…모두 벤츠'

2014년 출시된 메르세데스-벤츠 The New C-Class

-벨기에 환경단체 보고서, 벤츠 A, C, E 클래스 50%이상 부풀려져-벤츠 C클래스 2010년까지 20%대 연비과장이 2013년 37%, 2014년 53%로 상승-국내서도 에너지효율 등급표시위반 적발건수 수입차 중 최다 불명예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사건의 파장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와중에 메르세데스-벤츠의 연비가 가장 많이 부풀려졌다는 보고서가 나왔다.벨기에 브뤼셀 소재 환경단체 '교통과 환경(T&EㆍTransport & Environment)'이 28일(현지시간) 발표한 '차이를 조심하라(Mind the Gap)'보고서에 따르면 벤츠 일부 모델의 실제 주행 시 소모된 연료가 회사 발표 수치보다 평균 48% 많았고 신형 A, C, E클래스 모델은 50%를 초과했다. C클래스의 경우 실제 연비와 발표 연비 간 차이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20%대를 밑돌다가 2011년 30%를 돌파한 이후 2013년 37%, 2014년에는 53%로 상승했다. 조사대상 17개 모델 가운데 벤츠 3개 모델만이 50% 이상의 연비 차이를 보였다.BMW 5시리즈와 푸조 308도 발표 연비와 실주행 연비 차이가 50%를 약간 밑돌았다. 폭스바겐의 골프와 르노의 메간도 실주행과 발표 연비 간 차이가 40%였다. 자동차업체 전반에 걸친 발표 연비와 실주행 연비 차이는 2001년 8%에서 2014년 40%로 확대됐고 이로 인한 운전자의 추가 연료비 부담은 연간 450유로(약 59만8000원)에 달했다.T&E는 자동차업계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020년에는 연비 차이가 50%에 근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T&E는 보고서에서 "공기오염 검사처럼 차량 연비와 이산화탄소 배출 측정을 위한 유럽의 검사시스템도 신뢰도가 추락했다"며 "폭스바겐 사태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지적했다.

17개 모델의 실연비와 발표연비간의 차이[자료=T&E]

메르세데스-벤츠의 연비과장 문제는 국내서도 지적돼 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2~2014년) 25개 자동차 제조ㆍ수입사(국내 제조사 7곳ㆍ수입사 18곳) 가운데 광고매체나 전시장 등에 에너지 소비효율을 허위로 표시해 적발된 사례가 24개 업체, 325건에 달했다.업체별로는 벤츠가 57건으로 가장 많았고 도요타(30건)와 BMW(29건)가 그 뒤를 잇는 등 수입차 회사들이 다수 적발됐다. 산업부가 이들 업체에 부과한 과태료는 벤츠 2100만원, BMW 1800만원이었다. 국내 제조사 중에서는 기아차가 21건, 현대차가 11건 적발됐고 산업부는 현대차에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벤츠 C클래스와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의 연비부풀리기 비율 변화.[자료=T&E]

<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5092415493802378A">
</center>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