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길 찾아야' 원유철 원내대표 속뜻은?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오픈프라이머리 대신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18일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발언이 만만치 않은 파장을 만들어내고 있다. 윤상현 청와대 정무특보, 서청원 최고위원 등 당내 친박계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어렵다"는 입장을 거듭 천명한 반면, 비박계는 "당론으로 정한 오픈프라이머리를 적극 사수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는 등 계파 갈등이 더욱 뚜렷해지는 양상이다.원 원내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해 제3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한 것은 계파 차원의 문제라기 보다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다.원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야당의 혁신안이 당 중앙위를 통과하면서 우리 당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기가 더 이상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야당은 최대 1000명의 선거인단을 구성해 오픈프라이머리를 진행하고 전략공천도 일부 추진하겠다는 내용을 혁신안에 담은 바 있다.그는 "우리 당은 100% 완전국민공천제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인데, 그쪽(야당)은 전략공천도 하고 오픈프라이머리와 다른 선거인단을 구성하겠다고 한다"면서 "판 자체가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특히 원내대표로서 법안 처리가 쉽지 않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원 원내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가 현실화되려면 관련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면서 "총선이 7개월 앞으로 다가왔고 선거구 획정 등 총선준비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법안을 처리하기는 어렵다고 봐야 한다"고 언급했다.관련법안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이다. 오픈프라이머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선거인명부를 중앙선관위에 제출해야 하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새누리당은 이와 관련해 당내 경선을 위한 선거인명부 작성과 활용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원내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만큼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이와 관련해 김무성 대표는 "일단 노력하되 법안 처리가 안될 경우 그때가서 당내 별도 기구를 만들어 논의해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었다.새누리당 관계자는 원 원내대표의 발언에 대해 "김 대표를 돕기 위한 발언으로 본다"고 평가했다.김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 상황과 관련해 친박계의 공격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 원내대표의 돌출 발언은 오히려 김 대표의 부담을 덜어내는데 방점이 찍혔다는 것이다.원 원내대표는 이 문제가 계파 갈등 구조로 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그는 오는 20일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에서도 "노동개혁만 꺼낼 뿐, 오픈프라이머리는 안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