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포기한 조선 3사, 8조 적자에도 해양플랜트 포기 못 해박대영 협회장 "고부가가치산업, 스펙표준화해 가격경쟁력 확보"[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김혜민 기자] 국내 조선업계가 지금까지 총 8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적자를 낸 해양플랜트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미래 신수종사업에서 골칫거리로 전락한 풍력사업을 조선3사가 동시에 손 떼기로 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조선업계가 '적자무덤'이 된 해양플랜트 사업을 철수하기는커녕 오히려 투자를 늘리기로 한 데는 현 위기만 극복하면 해양플랜트가 '노른자'사업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해양플랜트의 한 종류인 FPSO(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1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오는 21일과 22일 양일간 부산 하얏트호텔에서 국내 조선사 및 발주처 대표들을 한 자리에 모아놓고 공동 워크숍을 진행한다. 이 자리에서 협회는 국내 조선산업 안전규격과 해양플랜트 표준규격 제정 등을 논의하고 올 연말까지 해양플랜트 규격 표준화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조선3사가 해양플랜트에서 적자를 낸 이유가 표준규격이 없어 발주처 요구에만 의존해 저가 출혈경쟁을 해왔다고 봤기 때문이다.조선해양플랜트협회장을 맡고 있는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은 "해양플랜트에서의 출혈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표준스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사장은 "수많은 독소 조항이 있음에도 해양플랜트는 표준스펙이 없어 발주처가 내미는 계약서에 따라가는 구조였다"면서 "협회가 주관해 표준계약서를 만들어 국내 조선사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표준 스펙에 따라 해양플랜트 기자재 등을 구입해 원가절감을 꾀하겠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해양플랜트 제작시 국산부품 사용 비율을 정해놓는 식의 표준화를 추진, 원가를 낮춰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식이다. 현재 해양플랜트는 배관재, 강재 정도만 국산화돼있다. 협회는 해양플랜트 장비의 국산화 비율을 선박 수준인 90%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발주처 등과 함께 논의하고 있다.조선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는 일반상선 및 유조선과 달리 표준규격이 없었기 때문에 공사단가를 산정함에 있어서 발주처에 끌려 다녔던 게 사실"이라며 "8조 적자를 낸 것도 기준이 없어 공사 투입비 산정 등과 관련해 초기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이므로 표준규격이 마련되면 조선업계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표준화 작업까지 추진하면서 해양플랜트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해양플랜트가 고부가가치산업이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해양플랜트 한 척 수주로 벌어들이는 이익은 일반 선박과 최대 10배까지 차이가 난다. 액화천연가스(LNG)의 척당 선가는 평균 2억 달러다. 반면 해양플랜트로 분류되는 드릴십과 반잠수식 시추선은 평균 5.5억~6억 달러, 바다 위의 정유공장이라 불리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는 20억~30억 달러 수준이다.국내 조선3사는 매년 100억~150억 달러씩 수주해야 현상유지를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007년까지는 일반 선박만으로도 이 물량을 다 채워왔지만 세계 경기침체와 저유가 등이 맞물리면서 발주량이 대폭 감소해 LNG선, 컨테이너선 수주만으로는 이 물량을 다 채울 수 없게 됐다. 해양플랜트 1개만 수주해도 한 해 수주 목표 물량의 5분의1을 채울 수 있다. 지금 당장 적자가 난다고해서 무작정 해양플랜트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또한 LNG, 대형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일반 선박은 중국 등 신흥국가에서 국내 조선기술을 바짝 추격하고 있지만 해양플랜트는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장선점 차원에서도 놓칠 수 없다. 이를 포기하는 순간 중국 등이 치고올라와 국내 조선사들의 경쟁력이 위축될 것이라는 게 업계 공통된 설명이다. 박 사장은 "해양플랜트를 노른자 사업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 당장은 저유가라 어려운 상황에 있지만 우리가 가야할 길은 해양플랜트"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축소할 생각이 없고 오히려 더 발전시켜 나가야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현재 조선3사의 해양플랜트 수주잔고는 660억달러 규모다. 삼성중공업은 해양시추설비 10기와 해양 생산설비 14기를 포함해 수주잔고가 240억달러 규모이며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각각 해양시추설비 3기와 15기, 해양생산설비 15기와 8기씩 갖고 있어 210억달러씩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다.조선업계 관계자는 "해양플랜트의 표준규격 제정에 찬성한다"면서 "단 선주사들이 우리 쪽 요구를 수용하느냐가 관건인데 이들을 설득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산업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