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전날 중국증시가 5%이상 반등에 성공해 3000선을 회복하며 연속 급락세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미국과 유럽증시 및 각국 증시가 상승세를 보였고 국내증시도 코스피가 1900선을 회복하는 등 중국발 쇼크가 완화되는 모습이다. 중국 이슈가 안정화단계에 접어들면서 다시 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은 미국으로 쏠리고 있다. 전날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가 3.7%로 발표돼 시장예상을 넘어섰다. 최근 각종 미국의 지표가 안정적 모습을 보였지만 중국 이슈로 9월 금리인상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인상 지연은 전반적으로 신흥국 시장 입장에서는 안도랠리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지만 중국 이슈가 점차 안정되며 미국 통화정책 예상이 어려워지고 있는만큼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짚었다.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는 증시 반등국면을 이용해 낙폭과대주에 대한 관심과 함께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 수혜주들을 중심으로 단기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연구원=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중국 금융시장의 혼란이 가중되며 글로벌 증시를 타격했던 중국발 쇼크가 진정되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까지 증시 수급안정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금리 및 지급준비율 인하 등 통화정책 수단을 동원해 대응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그만큼 금융시장 불안에 대해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발맞춰 선진국 통화정책 스탠스도 조심스런 변화가 감지 중이다. 특히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총재가 오는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 언급하는 등 이제는 중국이 미국 금리 정상화에도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듯 보인다. 아무래도 위안화 평가절하의 여파가 신흥국에 그치지 않고 선진 주식시장에도 적잖은 타격을 미치고 있음을 목격했기 때문일 것이다. 연준 입장에서 본다면 중국의 내부적 경기둔화 우려도 부담스럽겠지만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조짐이 체감적으로 더 크게 느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발 신흥국 변동성 위험이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전이되면 미국을 비롯한 선진시장도 다운사이드 리스크에서 자유롭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향후 연준의 금리인상 결정 변수에 기존 미국 경기여건에 더해 중국 제조업 경기와 기업의 신용위험, 캐리 트레이드 청산 위험까지 추가됐다. 물론 미국 경기는 완만하나마 개선세를 유지 중이라 여전히 금리정상화 유인을 제공 중이나 이번 금융시장 혼란을 통해 중국과 캐리 트레이드 청산 위험은 금리인상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반영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미국 통화정책이 조건부 함수로 변경되면서 당초 9월로 내다봤던 금리인상이 12월로 지연될 개연성이 커졌다. 따라서 9월 금리인상 시작, 12월로 금리인상 지연, 연내 제로금리 유지 확률을 각각 20%, 50%, 30%로 제시한다. 비록 미국 금리인상 지연이 단기적 심리안정에 도움은 되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해 정책정상화를 저해하는 신호로 인식되면 효과 지속성이 제한될 것이다. ◆이현주 NH투자증권 연구원= 전날 코스피는 중국 증시 반등 등에 힘입어 3거래일 연속 반등하며 일주일만에 1900선을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코스피 급락의 단초를 제공했던 중국 증시가 전날 5%이상 급등세를 보였고 주요 아시아 증시의 반등세가 이어지며 위축됐던 투자심리가 완화됐기 때문이다. 또한 고객 예탁금이 2주간 약 1조6000억원 정도 증가했고 국내 주식형펀드 자금 유입이 지속돼 외국인 매도세의 영향력이 반감된 것도 긍정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코스피가 장기추세선인 20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며 본격적인 하락세를 나타냈던 8월 이후 하락폭의 50% 되돌림 지수대인 1915선에서 상승탄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과거 기술적 반등의 경험적 패턴상 단기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낙폭과대주에 뛰어드는 전략 외에 단기적인 시장 접근 또한 모멘텀에 따른 선별과 압축이 불가피하며 지난 26일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 발표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내수소비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지난 26일 기획재정부는 민간부문의 소비활성화 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추가경정예산 조기 실시 등을 통해 재정지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및 대용량 가전제품 등의 개별소비세를 연말까지 30% 인하하는 방침, 코리아 그랜드 세일 혜택을 내국인에까지 확대하고 주택연금 가입대상을 9억원 초가 보유자에게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발표됐다. 이에따른 수혜는 자동차를 비롯해 화장품, 의류, 유통 등 내수소비재에 집중될 전망이다. 소비진작을 통해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은 롯데쇼핑, 현대백화점, 신세계, 이마트 등 유통업종 종목들과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등 화장품업종, 호텔신라와 하나투어 등 호텔 및 면세점 업체 등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