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절하→수출증가' 이젠 안통한다

세계은행 분석, 20년간 효과 급감…환율전쟁보다 수요회복이 먼저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중국 위안화 절하 사태를 계기로 각국의 환율전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자국 통화를 의도적으로 절하하는 가장 큰 목적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통화 가치를 내려도 수출이 크게 늘지 않는다면 어떨까.세계은행 소속 경제학자들이 19일(현지시간) 발표한 '수출 없는 통화절하-글로벌 공급 체인 및 수출·환율 상관관계'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통화절하에 따른 수출증가 효과는 20년 전과 비교해 절반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6~2012년까지 전 세계 46개국의 환율 및 교역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통화절하의 수출증대 효과가 크게 떨어지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지난 20년간 글로벌 교역망이 매우 복잡·다양해졌기 때문이다. 한 국가에서 생산돼 해외로 수출되는 농산품의 경우에는 자국의 통화절하가 가격 경쟁력 향상으로 직결된다. 하지만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와 같은 복잡한 생산·공급망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의 경우 이는 그리 간단치 않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액정화면은 일본에서, 반도체칩은 한국에서, 다른 부품들은 미국과 유럽에서 들여와 중국에서 완성된다. 위안화 약세는 이론적으로 최종 제품의 가격을 낮추지만 동시에 부품 수입 비용을 높인다. 이런 이유로 최근 경제학자들은 해외에서 직·간접적으로 조달된 중간재 변수를 제외한 부가가치 이익을 주목하고 있다. 전통적 무역 산정 방식으로는 세계 각국에서 조달된 부품들로 중국에서 만들어진 아이폰이 창출하는 이익의 대부분이 중국 본토 근로자들이 아닌 미국의 애플의 돌아가는 것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다. 국가별로 통화절하 효과도 다르다. 보고서는 글로벌 경제에 대한 편입도가 높은 국가일 통화가치 하락이 수출을 늘리는 효과가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세계 경제와의 연동성이 높을수록 환율 자체보다는 세계 경제 성장이나 수요 등의 변수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의미다. 9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룬 중국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 1년간 일본 엔화는 달러 대비 17% 떨어졌지만 지난 2분기 일본의 수출은 5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투자은행 브라운브라더스해리만의 마크 챈들러 글로벌 외환전략 대표는 "글로벌 저성장의 부작용은 환율로 극복하기 어렵다"면서 "미국, 유럽, 중국의 수출이 모두 늘기 위해서는 통화완화가 아닌, 세계 수요 회복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그레그 입 수석 경제 논설위원 역시 통화절하를 통한 제로섬 게임보다는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성장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