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주파수' 700㎒ 주파수 분배 방안 확정(상보)

700메가헤르쯔 주파수 분배안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논란을 거듭한 700메가헤르쯔(㎒) 대역 주파수의 용도가 확정됐다.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주파수심의위원회 위원장) 주재로 제3차 주파수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상정한 '700㎒대역 주파수 분배안'을 심의·확정했다.위원회는 지상파 UHD(초고화질) 방송의 선도적 도입 및 광대역 주파수 공급을 통한 이동통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700㎒대역 주파수를 방송에 30㎒폭, 이동통신에 40㎒폭 분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방송용 주파수는 HD 방송에서 UHD 방송 전환 기간에 한해 분배하기로 했다.정부는 700㎒주파수 대역에서 40㎒폭(728~748㎒, 783∼803㎒)폭을 통신용으로, 30㎒폭(698~710㎒, 753~771㎒)을 방송용으로 배분하기로 했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3일 열린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방송통신위원회(미방위) 산하 주파수정책소위원회에서 이같은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700㎒주파수란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을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한 후 생긴 여유주파수 대역으로 정확하게는 698∼806㎒다. 이중 20㎒폭(718∼728㎒, 773~783㎒)폭은 이미 재난통신용으로 배분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날 주파수심의위원회 의결로 700㎒ 주파수 대역 분배는 모두 마무리됐다. 주파수분배표 고시는 7월중 개정(안)에 대한 행정예고를 거쳐 8월에 개정을 완료하기로 했다.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그간 정부는 700㎒ 대역 주파수 분배와 관련해 폭증하는 모바일 통신수요에 대한 시장요구와 통신의 국제적 조화를 고려함과 동시에 첨단 UHD콘텐츠 제작, 방송의 활성화를 통한 한류 확산 및 국민의 보편적 시청권 요구 등을 감안해 통신과 방송 모두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미래창조과학부에 대해 "전문기관 검토결과 간섭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