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관계 부침에 협의체 운명도 좌지우지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당정청협의체가 당청 관계의 '바로미터'로 부상했다. 당청이 얼어붙을 때는 서로 머리를 맞댈 일도 없었지만 최근 당 지도부 교체로 분위기가 풀리자 '고위 당정청회의'와 '당정청정책조정협의회' 등이 잇달아 재가동되기 시작한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당정청간 고위 회동이나 정책조정협의회가 '여권 최고의사결정기구'인 동시에 당청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최근 당청간 분위기와 당정청 회동의 상관관계는 여권 주요 인사들의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추대 직후 "당정청은 삼위일체, 한 몸"이라며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를 재개하겠다"고 선언했다.그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 없이 내년 총선과 정권 재창출을 장담할 수 없다"며 "당과 청와대는 긴장과 견제의 관계가 아니라 소통과 협력을 통해 국민에게 무한히 봉사해야 한다"고 당정청 회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러닝메이트인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이명박 정부 때 시행했던 당청정책간담회를 부활하겠다"며 당청 소통에 무게를 실었다.지난 5월 15일 이후 2개월만에 오는 22일 재가동되는 고위 당정청회동은 여느 때보다 가까워진 당청관계를 대변한다. 고위급에 실무진까지 참여하는 '4+4+4'의 12인 회의체로 키운 것이다. 그동안 당정청에서 3명씩 모두 9명이 회의에 참석한 적은 있지만 12명으로 확대된 것은 이번 회의가 처음이다.원 원내대표는 "새 원내지도부 출범 후 첫 회동인데다 2개월만에 열리는 만큼 정책조정협의회 기능까지 포함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당정청 회동은 올 2월 유승민 전 원내대표와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각각 취임하면서 정례화됐다. 원내대표 시절부터 조율에 능했던 이 전 총리에게 당정청간 교통정리 임무가 주어지면서 적극 추진됐다.그러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자살과 금품수수 리스트가 발견된 직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당정청 회동 중단을 선언하면서 '박근혜 대통령과 선긋기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고 지난 5월 말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을 때는 함께 처리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불만으로 청와대가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