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감염 ‘초읽기’…의료계 '치료 중심 대비'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에 대한 방역체계가 곳곳에서 뚫리면서 지역사회 감염이 임박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이에 따라 의료계 일각에서 메르스의 지역사회 감염에 대비, 치료 중심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16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이날 신규 확진자 4명 가운데 대구에서 첫 확진 판정을 받은 공무원(52, 154번째 환자)은 미스터리 자체다. 보건당국의 격리대상에서 제외됐고, 증상도 최대 잠복기를 이틀 이상 넘겨 지난 13일부터 시작됐다. 154번 환자는 지난달 27일 어머니를 문병하기 위해 누나와 함께 삼성서울병원에 들렀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누나는 지난 10일 확진 판정을 받고 대전에서 격리치료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건당국의 느슨한 방역망이 또 한번 입증된 셈이다. 정부의 방역 실패 사례는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전날 확진된 146번 환자(55)는 잠복기를 훨씬 지난 접촉 17일만에 메르스 증상이 나타탔고, 평택 경찰관인 119번 환자(35)의 경우 여전히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밖에도 76번 환자를 옮긴 구급차 운전자 가족 등 정부의 격리대상에서 제외된 '4차 간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의료계에선 이같은 사례가 지역사회 감염 조짐으로 보고 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사례가 나오는 만큼 지역사회 감염은 예견돼 있다"고 말했다. 손장욱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도 "당국의 방역이 뚫리는 것은 지역사회 전파를 암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감염에 대비해 서둘러 치료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중앙 메르스 콜센터(109)나 다산콜센터(120)에 전화해 메르스 의심신고를 하려면 발열과 기침 등이 증상만으론 확진 검사를 받기 어렵다.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했거나 메르스 발생 병원을 방문한 이력이 전제돼야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최 교수는 "일반인들이 검사는 더욱 힘들고 병원에서 증상이 있는 환자에 대한 검사를 (보건당국에) 요청해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 실제 최초 확진자는 보건당국이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검사 요청을 묵살하면서 이틀이나 검사가 지연됐고, 4번 환자의 경우 부친의 감염으로 격리를 요청했지마 발열 기준(38℃)에 못 미친다고 검사가 거절됐다. 최 교수는 "지역사회 감염이 무서운 것은 감염경로를 모르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게 메르스에 감염되는 것"이라며 "감기처럼 그냥 지나간 경우는 그나마 괜찮지만 노인들은 감염으로 인해 폐렴으로 사망까지 갈 수 있고, 젊은 사람들도 중증의 감염으로 생명이 위독해질 수 있다"고 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