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라드는 중동 건설수주

저유가·정세불안 탓에 발주 감소올 수주액 중 22%, 전년의 30%로 감소[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누적금액이 50년 만에 사실상 7000억달러(약 777조2800억원)를 넘어섰다. 이 중 55%가 해외 건설시장의 '텃밭'인 중동지역에서 나왔다. 하지만 올 들어 중동 수주 실적은 전년의 30%에 불과한 상황이다.15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누적액은 6996억달러다. 여기에 지난 4일 계약 체결된 6억9000달러 규모의 호주 웨스트 코넥스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계약 체결 결과보고가 접수되면 7000억달러를 돌파하게 된다.7000억달러 달성의 일등공신은 중동이다. 중동에서만 누적 수주액의 55%인 3885억달러를 벌어들였다. 해외건설 텃밭으로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올해는 이 자리를 아시아에 내준 상황이다. 올해 누적 수주액(304억달러) 중 39%가 아시아지역 공사다. 중동은 68억달러 수준으로 전체의 22.6%에 불과하다. 수주지역이 다변화됐다면 다행인 일이지만 지난해에 비해 수주가 늘지 않은 상황이라 다변화라고 볼 수는 없다. 국내 건설사들이 예년 수준의 중동 수주를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저유가와 정세불안 탓이다. 이선일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저유가 탓에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은 중동 국가들이 예년보다 발주 물량을 줄였다"며 "쿠웨이트와 이라크, 이란 등 각국의 정세 불안도 한몫했다"고 말했다.이 연구위원은 "중동시장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의 발주량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고 카타르와 쿠웨이트, 이라크가 올라오면서 중동 물량은 크게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됐었다"며 "하지만 유가가 확 낮아지면서 카타르 등의 발주 물량 확대세가 둔화돼 전체 물량이 감소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중동 국가 대부분은 국가 수입의 대부분이 원유 판매에서 나온다. 원유를 정제해 팔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선 대규모 정유 시설이 필요하다. 이 덕분에 2000년대 중ㆍ후반에 플랜트 붐이 일었고 이 수혜를 국내 업체들이 톡톡히 입었다.이 연구위원은 "유가가 많이 꺾이다 보니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정제 산업에 대한 동기가 크게 약화된 것"이라며 "이에 따라 중동지역에서 석유ㆍ화학 플랜트 공사가 먼저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올 하반기 수주 여건은 나아질 것으로 봤다. 130억달러 규모의 쿠웨이트 신규 정유공장이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터미널 등 수주 가능성이 큰 물량들이 꽤 있고 전통적으로 발주 물량이 많은 점들을 고려 할 때 하반기에는 수주량 부족을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핵심 변수인 유가 급락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비중동지역이 많아 올해 전체 해외수주 전망은 그리 나쁘지 않다"며 "올해 연간 수주액은 전년 대비 5% 정도 줄어든 627억달러 수준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