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완구 국무총리가 20일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후임 총리를 두고 하마평이 무성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남미 순방기간 중 후임 총리 후보에 대한 보고를 받고 오는 27일 귀국 이후 곧바로 인선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전해졌다.후임 총리 인선을 앞두고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인사 컨셉트'다. 이 총리가 '실세총리', '책임총리'로서 강력한 국정주도권을 쥐었다면, 후임 총리는 안정적으로 국정을 조정하는 역할에 비중을 둘 것으로 보인다. 집권 후반기를 앞둔 박 대통령으로서는 총리가 국정의 위험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을 가능한 배제하는 한편 국정과제 성과를 차분히 챙길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가장 눈길을 끄는 인물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다. 황 장관은 공안검사 출신으로 2013년 3월 법무부 장관에 취임해 2년 1개월 간 큰 무리없이 직무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의 국정방향을 잘 이해하고 있고 청와대와의 소통도 무난해 지금의 위기를 타개할 적임자가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박 대통령의 신뢰도 깊다.여당내 경제통으로 꼽히는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은 '준비된 총리감'이라는 평이 많다. 여당 원내대표를 지낸 4선 의원이라는 무게감은 물론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남다르다. 더욱이 내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집권 후반기를 맞은 박 대통령을 오랫동안 보좌하며 국정을 이끌어갈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이주영 새누리당 의원도 총리 후보감으로 거론된다. 이 의원은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팽목항에 머물면서 유가족들의 아픔을 가슴으로 받아내 강한 인상을 남겼다. 지난 2월2일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서 패한 데 대한 친박(친박근혜)계의 부채의식이 남아있는 점도 작용할 수 있다. 내년 총선 출마 여부가 변수다.관료 출신 가운데에서는 한덕수 전 총리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한 전 총리는 경제관료로 성장해 참여정부의 마지막 총리를 지냈고, 이명박정부에서는 주미대사로 일했다. 지난 2월 무역협회장 임기를 끝낸 상황이다. 윤 전 장관은 역대 정권에서 금융위원장과 기재부장관을 맡은 경제전문가로 퇴임 후에도 윤경제연구소를 맡고 있다. 다만 박 대통령의 경제정책 방향과의 조화, 경제부총리와의 호흡을 맞출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비박(비박근혜)계 정치인 가운데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의 이름도 나온다. 이들의 잠재적 대권후보라는 점에서 부담스럽다. 또 현재 정국이 비상상황인데다 박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융합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총리로 지명할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많다.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