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쓰는 국가 연구장비, 필요한 곳으로 이전'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 연구개발(R&D) 효율화를 위해 '유휴·저활용장비 이전지원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저활용 장비란 연간 장비 가동률이 10% 미만인 장비를, 유휴 장비는 6개월 이상 가동이 정지된 장비를 뜻한다. 유휴·저활용장비 이전지원 사업은 대학이나 출연연 등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장비 중 연구과제가 종료돼 활용도가 떨어진 장비를 수요 기관이나 연구자를 찾아 이전해 주고, 이때 소요되는 경비(수리비, 이전비, 교육비)를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미래부는 2010년부터 총 사업비 21억5000만원을 투자해 53개 기관의 보유 장비 241점(장비 취득가액 기준 305억8000만원)을 80개 기관으로 이전·재배치한 바 있다. 산업부도 2014년부터 이전지원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양 기관은 미래부의 연구시설장비 활용서비스(ZEUS)와 산업부의 산업기술개발장비 통합관리플랫폼(e-Tube)간 정보 연계를 통해 유휴·저활용장비 및 수요자 정보를 공유하고 필요 시 상호 지원할 계획이다.최근 5년간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등록된 연구시설·장비 2만7201점(3조 8160억원) 중 미래부가 35.5%(9660점, 1조 6295억 원)를, 산업부가 37.9%(1만314점, 1조 5225억 원)를 차지하고 있다.최원호 미래부 평가혁신국장은 "연구소나 대학 등이 보유한 유휴 ·저활용 장비의 이전 활성화로 정부 R&D 예산으로 구입한 연구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돼 국가 R&D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