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불임 치료제 개발 및 공공정자은행 설립 추진…남성 불임환자 증가세, 여성보다 10배 높아
<br />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불임·난임으로 고통받고 있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부산대학교병원과 한국전통의학연구소가 이를 위한 치료제 개발과 공공정자은행 설립을 추진한다. 한국전통의학연구소는 현재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남성불임 관련 한약제제를 개발하고 대학병원 연구진과 함께 '한국공공정자은행'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위해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황성연 교수팀과 부산대병원 박남철 교수팀은 지난해 12월부터 남성불임치료제 후보물질(KH-465)에 대한 비임상독성 시험을 진행 중이다. 공동연구진은 올해 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임상시험 신청을 거쳐 내년 상반기 임상2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공공정자은행 설립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도 착수한다. 공동연구진은 이달 29일 단국대 의과대학에서 '한국 공공정자은행 설립 추진위원회' 발기인 대회에 참여하고, 상반기 중 국회에서 열리는 공청회나 토론회에서 법적·제도적 보완방법을 함께 물색할 방침이다. 공공정자은행은 남성 정자를 채취한 뒤 동결보존액과 혼합, 영하 196도의 액체질소 탱크에 동결 보관했다가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시술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다. 정자형성 장애나 무정자증으로 아이를 갖지 못하는 부부를 위한 의료 서비스다. 한국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운영하는 정자은행은 없는 상태다. 난임부부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국가적인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올해 2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윤옥 새누리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17만8000명 수준이던 난임 환자는 지난해 20만8000명으로 16%가량 증가했다. 한국전통의학연구소는 특히 남성 불임 환자가 급증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같은 기간 여성 불임 환자는 7% 증가한 데 비해 남성 환자는 2만8000명에서 4만4000명으로 67%가량 큰 폭으로 뛰었다. 정부의 불임치료 지원 비용도 2012년 216억원대에서 작년 249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실제 시술이 필요한 부부들이 체감하는 지원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박남철 교수는 "남성불임 원인의 30%가 정자형성 장애나 난치성 무정자증인데 호르몬 제제외에는 불임치료제가 없어 가임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 및 정자은행 설립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전국 단위의 정자은행이 없는 상황이므로 정자 제공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을 위한 법과 제도 정비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