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맞춤형 도시재생 가동…27개 선도지역 개발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사람특별시'를 강조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민선6기 시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가 9일 내놓은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방향 역시 '사람'에 초점이 맞춰졌다.지역주민과 이웃이 주체가 돼 공동체를 살리면서 서울이 갖는 지형적 특성과 역사, 삶의 흔적을 담는 도시재생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여기에는 그동안 ▲한국전쟁 복구와 산업화(1960년대) ▲도시 확장 및 신시가지 개발(1970~90년대) ▲균형발전(2000년) 등 시대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공간에 재생이 이뤄져 왔지만, 그 가운데 사람이 소외되고 서울의 자산과 미래세대 또한 고려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는 반성이 전제됐다.◆사람 중심의 도시재생사업 추진= 이에 따라 앞으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사업은 무엇보다 사람이 중심이 되고 서울이 갖는 정체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특히 사업의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주민과 함께 추진한다.지역 재생계획과 실행 과정에 참여해 주민자생력을 높이고 장래에는 주민이 직접 기획, 제안, 사업을 추진토록 하는 것이 궁극적 방향이다.또 기존의 모두 헐고 새로 짓는 획일적 철거 재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맞춤형 정비가 이뤄지게 된다. 지역의 산업ㆍ경제ㆍ자연ㆍ문화ㆍ역사자원의 특성을 존중해 지역맞춤형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단순히 건물이나 공간을 바꾸는 단기적이고 물리적 성과보다는 지속성 있는 동력 형성에 주력한다. 일본 나가하마의 민관협력형 도시재생이나 영국 런던 코인스트리트의 사회적기업 주도의 도시재생 등 외국 사례를 보면 약 30년간에 걸쳐 현재까지 진행중이다.마지막으로 서울시 투자는 지역 활력을 이끌어내는 공공의 마중물 사업에 집중한다. 시가 먼저 나서 공공시설을 만들어 민간의 투자 촉진함으로써 지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나간다는 내용이다.◆대안형 도시재생 어디서 추진되나= 서울시의 대안형 도시재생 프로젝트는 선도지역 27곳에서 선을 보인다.시가 지난 3년간 준비해 확정ㆍ발표한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에는 ▲쇠퇴ㆍ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ㆍ문화자원 특화지역(7개소) ▲저이용ㆍ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하는 내용이 담겨있다.쇠퇴ㆍ낙후산업 지역은 한때 성장을 견인했으나 산업재편 과정에서 활력이 저하돼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활로 모색이 필요한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일대 3곳을 집중 대상지로 삼는다.역사ㆍ문화자원 지역은 삶의 흔적이 담긴 지역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개발로 훼손돼 이를 보전하면서 관광명소로 활성화시킬 방안이 필요한 세종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등 7곳이다.과거 철도역 등 성장을 견인했으나 현재는 지역발전 저해시설로 전락한 서울역, 창동ㆍ상계, 영동MICE, 광운대역, 상암ㆍ수색 등 5곳은 지역단절을 극복하면서 중심지 기능을 강화해야 할 곳으로 분류됐다.노후지역인 ▲창신ㆍ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ㆍ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곳에 대해서는 보편적ㆍ체계적 관리시스템과 함께 새로운 '통합형 주거지 재생모델'을 세워 재생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은 무문별한 개발이 이춰졌던 과거를 반성하고 저성장시대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했다"며 "시민이 함께 만들고, 함께 잘살고, 함께 행복한 100년 서울을 지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