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예측 정확도 70%로 높인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스마트팜 8000개 농가에 보급

▲청와대

[아시아경제 정종오·신범수 기자] 정부가 재해예측 정확도를 현재의 50%에서 2017년까지 70%까지 높이기로 했다. 또한 2017년까지 농업 분야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스마트팜을 8000 농가에 보급한다. 스마트팜은 경제적 파급효과가 5조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정부는 16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활용 재난대응 강화와 농업분야 혁신' 방안을 내놓았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산업과 사회, 문화가 하나로 융합되는 시대에 경제·사회의 난제들을 해결해주는 결정적 수단으로서 과학기술이 중심에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며 "이런 의미에서 오늘 자문회의가 과학기술을 통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고 우리 농업의 혁신을 이루는 의미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재해예측 정확도를 70%로 높이기 위해 정부는 과학기술을 활용한 효과적 재난대응에 주목했다. 지능형 폐쇄회로 TV(CCTV)가 도입된다. 교량, 터널 등 국가 기반시설의 노후화에 따라 실시간 센서 계측을 통해 안전을 사전에 모니터링하는 안전진단센서가 설치된다. 재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복구 단계에서는 첨단 장비인 재난용 무인기, 재난안전 로봇, 개인방호 스마트 장비 등 기존에 연구 수준에서 보유한 첨단 구난장비를 재난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연구개발 투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체계적으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해 재난안전산업의 기술경쟁력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스마트팜의 과학기술을 통한 농업분야 혁신 방안도 마련됐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농축수산업에 스마트 솔루션을 접목해 동식물 생육 특성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말한다. 2017년까지 8000 농가에 한국형 스마트팜이 보급된다. 핵심기술을 국산화해 한국형 보급 모델을 확산하고 이를 통해 농업환경에 최적화된 기술 고도화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밭농업에 소형·저가 농기계가 투입된다. 현재 우리나라 밭농사 기계화율은 55.7%로 벼농사 기계화율 94.1%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또 농축산 부산물을 바이오매스와 화학물질 등 새로운 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원천기술개발에 집중해 친환경에너지타운을 건설하는 한편 농업 벤처를 확산하고 개별부처 중심 농업 연구개발(R&D)을 개방형·융합연구 체계로 바꿀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재난안전 주무부처로 새로이 출범한 국민안전처와 협조해 과학기술 기반의 재난대응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상엽 자문회의 위원은 "정보통신기술 등을 접목해 농업혁신방안을 추진한다면 농업 선진국으로의 새로운 길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