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0년을 돌이켜 보면 우리나라는 일본의 침략으로 자원과 인력을 모두 수탈당하고 해방 후의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세계 최빈국에서 불과 50여년 만에 세계 15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해 전 세계를 놀라게 한 바 있다. 좁은 영토, 부족한 자원, 협소한 내수시장의 조건에서 제조업 기반의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전략을 채택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중화학공업 발전을 이루어내고, 자동차, 철강, 조선, 유화산업, 정보기술(IT) 등 주력분야에 집중해 지금까지 꾸준히 세계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몇 년 전부터 우리 사회에는 경제 분야에서의 이러한 양적 성장과 함께 선진국으로의 발돋움을 위해 사회 전반에서의 질적 도약도 함께 이루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과학기술도 이러한 성장 패러다임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과학기술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할 때가 왔다. 2012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60% 이상이 '삶의 질 향상'을 국가 핵심전략기술의 선정기준으로 선택했다고 한다. 이는 일반 국민들도 과학기술의 경제발전 기여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과학기술은 경제발전에 수반되는 자원고갈, 환경오염 등의 결과가 현재와 미래 우리 후손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아이러니를 극복해 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인은 미래 우리 삶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얼마 전 온 국민들에게 커다란 충격과 슬픔을 안겨준 세월호 침몰 사고는 과학기술계에도 무거운 숙제를 안겨 주었다. 우리나라에서 2001년부터 10년간 연평균 28만건에 가까운 인적 재난이 발생했으며 연간 재산피해만 해도 4800억원에 이른다. 자연 및 인적 재난ㆍ재해의 대응체계 부재를 탓하는 시선에서 과학기술계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원전, 고속철도, 지하철, 송유관, 초고압 전력망 등 고도의 사회간접 시설물들이 좁은 국토에 밀집돼 있는 현실에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재난ㆍ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은 과학기술계가 시급히 대응해야 하는 과제이다.국민 행복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튼튼한 안보이다. 인류 역사를 돌이켜보면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도 최고의 기술은 국방 기술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간 국방기술 개발에 있어서는 독자적 원천기술 개발보다는 선진기술의 도입ㆍ보완ㆍ양산에 치중했던 것이 사실이다. 국방과학기술 개발은 무인화, 광역화, 첨단화되고 있는 전시환경에 대비한 무기체계 개발뿐만 아니라, 군인의 모든 생활에 직접 관련되는 전력지원체계의 개발까지 그 적용범위가 무궁무진 하다. 따라서 최근에 방위사업청과 미래창조과학부가 향후 민군기술협력에 5년간 각각 155억원, 141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은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그간 민간이 축적한 기술력과 군의 수요가 결합됐을 때 국방 기술의 발전, 방산 수출 증대, 군 예산 절감, 국군의 전투력 증강 등의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과학기술이 국민의 생활에 밀접하게 기여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큰 연구집단인 정부출연연구소들이 갖추고 있는 우수한 기술력과 지적재산권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적극 활용돼 이들의 세계시장 진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소외된 청소년과 이웃을 위한 과학기술 교육, 체험, 나눔 등도 가능하다. 또한 개발도상국에 우리의 개발 경험을 전수하는 등 우리나라의 국격에 적합한 과학기술 공적개발원조(ODA)를 실천하면서 원조공여국으로서의 간접적인 행복을 맛볼 수도 있다. 하성도 KIST 연구기획조정본부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