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언 추정 변사체, 檢 유령 쫓고 있었단 얘기?

'6월12일 이미 사망' 검찰 7월21일 사전구속영장 재청구 왜?…사인, 사망시점 등 곳곳에 의문점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73)이 변사체로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의문점은 하나 둘이 아니다. 22일 검경에 따르면 전남지방경찰청은 지난달 12일께 순천 송치재 휴게소에서 2.5km 가량 떨어진 매실 밭에서 부패된 남성의 시신 한 구를 발견했다.경찰은 일단 무연고자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신원 확인을 위해 엉덩이 뼈 일부를 떼어내 DNA 분석을 의뢰했다. 경찰이 밝힌 DNA 결과는 놀라웠다. 유병언 전 회장의 친형인 병일(75)씨 DNA와 일치했고 유병언 전 회장 DNA와도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병언 전 회장이 결국 변사체로 발견됐으며, 사체는 부패 등으로 상당히 훼손된 상태라는 게 현재까지 나온 결과물이다. 발견 당시 시신은 겨울점퍼에 벙거지를 썼으며 하늘을 바라본 상태로 누워 있었다. 반백골화가 80% 가량 진행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이러한 추정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의문은 오히려 증폭된다. 유병언 전 회장은 구원파 신도 등의 비호를 받으며 유유히 도피행각을 벌였다는 게 수사당국의 관측이었지만, 이는 잘못된 판단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유병언 전 회장은 홀로 도피를 하다가 어떤 이유에 따라 숨졌다는 얘기인데 70세가 넘은 노인이 검찰과 경찰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홀로 도피할 수 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시신 주변에는 술병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유병언 전 회장은 술을 마시지 않는다는 관측도 있다. 수사당국의 추격에 압박을 느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관측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추정이다. 변사체를 둘러싼 실체는 추가 수사를 통해 밝혀져야 할 대목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또 있다. 경찰이 변사체를 발견한 시점은 6월12일이다. 검찰은 7월21일 언론 앞에서 “유병언의 꼬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면서 조만간 검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렇다면 검찰이 그동안 쫓고 있었던 실체는 무엇인지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경찰이 내놓은 결과를 보면 6월12일, 유병언은 이미 숨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무려 한 달이 넘도록 검찰이 누구를 쫓고 있었는지, 무엇을 근거로 “유병언 꼬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했는지 검찰이 해명해야 할 부분이다. 검찰은 이미 숨져 사체가 훼손된 유병언을 상대로 7월21일 6개월에 이르는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한 셈이다. 유병언 전 회장이 실제로 변사체의 당사자로 확인될 경우 그 많은 수사인력은 결과적으로 ‘유령’을 쫓고 있었다는 의미인데 '부실수사'를 둘러싼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류정민 차장 jmry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