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중국의 국정 방향을 결정하는 양회(兩會)에서 확인된 중국 경제의 정책 방향을 고려하면 국내기업들이 도시화, 신에너지 산업, 정보통신, 환경, 서비스, 웰빙 산업에 주목해야한다는 조언이 나왔다.코트라는 16일 서울 염곡동 본사에서 '양회 이후 중국 경제 환경 변화와 대응방안' 설명회를 갖고 "국내기업들이 중국의 서비스, 정보통신, 환경, 도시화, 신에너지, 월빙 등 6개 업종 진출해야한다"고 밝혔다.코트라는 현재 중국 경제 불안에도 불구하고 올해 중국경제가 7.5% 전후 성장을 달성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전망했다. 성장 모멘텀이 여전히 크고 선진시장 경기회복으로 수출 전망도 밝은 편이며 정부가 운용할 수 있는 자원도 많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국을 가장 큰 수출시장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두고 있는 우리기업에게 서비스를 비롯한 ICT, 환경, 웰빙 등 4개 업종은 유망 분야다. 내수진작, 산업조정, 대외개방 등 올해 정부업무보고에서 강조된 거의 모든 과제가 서비스업에 관련돼 있다. 정보통신산업은 올해는 물론 앞으로도 산업육성과 내수진작의 일환으로 강조될 핵심 산업이다. 환경, 웰빙산업 역시 정책과 소비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는 유망산업이다. 특히 올해 중국 정부의 주요 정책 가운데 생태환경과 도시화, 농업 및 농촌 개혁 등 전반적인 환경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환경 분야 협력을 넣기로 한 만큼 환경 관련 서비스 개방, 시범 협력 산업 등은 검토해볼만 하다. 웰빙 산업 역시 건강식품, 안전 위생 용품과 유아용품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 기업의 안전, 디자인 경쟁력을 발휘한 제품과 마케팅이 현지에서 통할 것이라는 게 코트라의 전망이다.리커창 총리의 ‘첫 작품’이자 내수기반 성장전략의 근간으로 관심을 모아온 신도시화 계획은 정작 기대와 관망이 교차하는 분야다. 지금까지 나온 정책으로 보아 도시 인프라나 신도시 건설 투자에 따른 수요 확대는 분명해 보인다. 스마트시티, 에코시티는 물론 구도시 ‘판자촌’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하지만 도시주민 소비 확대를 통한 내수 확대 효과는 시간이 걸릴 수 박에 없다. 중국정부가 농촌이주노동자(농민공)의 도시민 전환을 추진하겟다고 밝히고 있지만 재정부족, 원 도시민과 이해상충, 지역간 경제격차 등 어려운 과제가 산재한데다가, 도시지역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에너지 산업도 기회와 리스크가 교차한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물론 전기자동차 등 중국이 야심차게 추진해 온 신에너지 육성정책 상당수가 실제 운영과정에서 성공적이지 못하다. 게다가 미국의 셰일가스 본격 생산에 따른 국제 에너지가격 하락의 영향이 어떻게, 얼마나 미칠지도 지속적 모니터링 대상이다. 코트라 중국사업단의 정환우 조사담당관은 “한중 FTA 등을 통한 서비스업 개방은 물론 시장개방 혜택을 누리고 있는 중화권 기업과의 공동 진출 등 다각적인 진출 전략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말했다.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