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스 트레이딩 허브' 구축 추진

[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정부가 국내에 도입하는 천연가스 가격 인하를 위해 가상의 가스 거래소인 ‘가스 트레이딩 허브’를 설치하는 방안을 중장기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외교부 당국자는 26일 “우리나라는 연간 3000만t 정도의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데 미국과 유럽에 비해 훨씬 웃돈(프리미엄)을 주고 사온다”며 이같이 밝혔다.우리나라의 천연가스 도입가격은 미국의 5~6배,유럽의 3~4배인 것으로 외교부는 파악하고 있다. 천연가스 100만 영국열량단위(mbtu)당 도입비용은 셰일가스 생산이 급증하는 미국은 3달러선인데 반해 유럽은 11~12달러이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는 15달러 이상이라는 설명이다.우리나라는 카타르와 인도네시아 등 중동과 아시아의 생산국에서 20~30년의 장기 계약을 맺고 천연가스를 도입하고 있지만 중간 판매 금지를 규정한 목적지 조항(destination clause)과 물품을 인수받지 않더라도 대금을 지급해야 하는 인수의무규정(take or pay contact) 등 불리한 조건에 따라 도입해 시장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현물 시세 변화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현재 천연가스 가격은 대부분 석유가격과 연동돼 있어 석유가격이 오르면 가스 가격이 오르는 구조가 돼 있다. 반면 미국과 호주 등 전 세계에서 셰일가스 개발이 가속화하면서 가스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나라 도입가격에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외교부 당국자는 “재협상을 통해 불리한 계약을 개선하는 노력도 중요하다”면서 “중장기로는 천연가스 트레이딩 허브를 구축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이를 위해서는 물동량 확보와 경쟁, 규제완화 등 시장친화적 여건 등이 조성돼야 한다. 유럽의 영국과 네덜란드,미국 등지에서 트레이딩 허브 구축에 10년 정도가 걸렸다.이에 따라 정부는 우리나라에 허브를 구축하는 데도 10~15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그러나 한국이 과연 트레이딩 허브로서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국제에너지기구(IEA)도 수요가 급증하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가스 트레이딩 허브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한다.IEA는 최근 펴낸 ‘아시아 가스트레이딩 허브 구축의 장애물과 기회’라는 보고서에서 “아태지역은 2015년에는 연간 천연가스 수요가 7900억 입방미터로 세계 2위의 시장이 될 것”이라면서 “천연가스 거래와 가스 인프라에 대한 투자 유입을 위해 가스트레이딩 허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그러나 IEA는 중국은 급성장하는 가스 수요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도 경쟁이 없고 한국과 일본은 공급 안정성을 중시한 나머지 정부 개입이 심해 하류부문 경쟁이 부족하하다면서 현재로서는 시장자율과 천연가스 도매가격제도, 뛰어난 네트워크 덕분에 싱가포르가 최적의 후보지라고 지적했다.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