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체력은 OK…'공포전염'이 문제

신흥국發 금융위기 쓰나미…당국 대응고심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김철현 기자]경제회복에 시동을 건 한국 경제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이에 따른 신흥국 위기 등 악재가 들이닥쳤다. 세계 경제 양대 엔진인 미국과 중국 등 주요 2개국(G2)의 경기 속도 조절과 신흥국을 대표하는 아르헨티나, 터키에서의 자금유출로 위기가 시작됐으며, 다른 선진국과 신흥국들로 급속히 전염되면서 우리 경제에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 당국은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이 튼튼한 만큼 다른 신흥국들과는 차별화 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28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신흥국 시장의 불안이 예견된 일이지만 최근 움직임이 애초의 예상범위를 벗어난 수준으로 판단하고 대응체제를 한층 강화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열어 "미국의 테이퍼링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면서 "(양적완화의) 물량이 줄어드는 게 아니고 늘어나는 폭이 줄어드는 것인데도 이렇게 반응하는 것을 보면 앞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를 마무리하는 데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또 "한 편에서는 디플레이션을, 다른 한 쪽에서는 자산 버블을 우려한다"며 "글로벌 위기를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어디는 열이 오르고 어디는 열이 조금도 나지 않은 곳도 있다"고 지적했다.경제정책 컨트롤타워인 기재부도 비슷한 생각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말 미국의 테이퍼링계획이 발표된 직후부터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신흥국 시장에 대한 불안 가능성을 예측했지만 최근 두 나라의 화폐가치 급락과 자본유출입 상황이 예상보다 가팔라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기재부 다른 관계자도 "신흥국 위기가 아세안(ASEAN)이나 한국으로 전염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라며 "신흥국 전반으로 그 영향이 파급되는 '신흥국 동조화' 현상으로 인해 국내 금융ㆍ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한국 정부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5년물)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작년 12월18일 55bp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찍은 뒤 27일 74bp까지 치솟았다. 작년말 대비 변동폭은 +8bp로 일본(14), 중국(25), 브라질(18), 러시아(22) 등보다 작지만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원ㆍ달러 환율은 연초 달러당 1050원이 무너지기도 했지만 지난 27일에는 1083.6원으로 한달만에 30원 이상 올랐다. 최근 상황은 신흥국들의 대외적인 불안요인과 대내적인 취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불안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중국의 그림자 금융, 일부 신흥국들의 경상ㆍ재정수지 적자 등은 단기간 내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이다.정부는 그러나 다른 신흥국과 달리 단기부채 비중이 27.1%로 낮은 편이고 지난해말 기준 3464억달러의 외환보유액을 확보하고 있어 지나치게 경기를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지난해 경상수지가 사상최대인 70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여 이번 위기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미국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대미(對美) 수출비중이 높은 한국에는 긍정적인 신호라는 해석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현 상황에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거나 이를 검토하는 대신 이미 마련된 시나리오별 컨틴전시 플랜을 지속 점검해 시장 불안 조짐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실물경제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또 선물환 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외환건전성 부담금 거시건전성 3종 조치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세종=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금융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