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의 3災 … 제2의 디폴트 오나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2001년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국가부도 사태를 경험한 아르헨티나가 다시 똑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됐다.미국에서 발간되는 경제 주간지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는 아르헨티나의 사회불안, 자본이탈, 더딘 경제성장이 제2의 디폴트를 예고하고 있다고 최근 분석했다.아르헨티나는 중남미에서 3번째로 경제 규모가 큰 나라다. 그러나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과 그의 부인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현 대통령의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정책으로 민심이 불안한 상태다.두 인물이 자랑삼아 내세우곤 하는 지난 10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 7.2%는 과도한 정부 지출을 바탕으로 한 탓에 물가가 치솟고 말았다.지난달 초순 아르헨티나 제2의 도시 코르도바에서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시작된 경찰의 파업은 아르헨티나 24개 주(州) 가운데 20여개로 확산됐다. 이에 따라 치안 공백이 생기면서 적어도 17개 주에서 약탈행위가 자행됐다.정부가 발표하는 인플레이션율을 아무도 믿지 않을 정도로 정부에 대한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11%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코노미스트들은 실제 상승률이 28%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아르헨티나의 높은 물가는 지난해 26%나 떨어진 페소화 가치 급락에도 영향 받고 있다.이에 아르헨티나에서 자본이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 페소 가치는 올해 들어서만 20% 떨어져 달러당 8페소까지 치솟았다. 2011년 520억달러였던 외화보유액은 293억달러(약 31조7172억원)로 감소해 중앙은행이 환율방어를 사실상 포기한 상태다.아르헨티나 국민은 암시장에서 페소를 달러로 바꾸는가 하면 아예 자산을 해외로 빼돌리기도 한다. 아르헨티나의 총부채는 500억달러다. 그러나 외환보유고가 급감해 디폴트 위기를 키우고 있는 것이다.아르헨티나의 국채 수익률은 12%로 신흥국 가운데 베네수엘라 다음으로 높다. 아르헨티나가 향후 5년 사이 디폴트에 빠질 확률은 79%로 알려져 있다.아르헨티나가 유일한 희망으로 내세웠던 높은 경제성장률마저 날개가 꺾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아르헨티나의 올해 성장률을 2.8%로 내다봤다. 이는 신흥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인 5.1%의 절반 수준이다.미국 뉴욕 소재 헤지펀드 그레이록 캐피털의 디에고 페로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현지 경제는 예금인출 사태, 극심한 인플레, 외환보유고 급감으로 고통 받게 될 것"이라며 "아르헨티나가 심판의 날을 마주하고 있다"고 경고했다.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