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에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경력직 이직은 준비부터 신입 때와 다르다. 막연한 가능성이 아니라 업무 경험과 실적, 포트폴리오 등 그동안의 개인 발자취를 바탕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직장 내 인간관계, 태도 등의 평판도 영향을 미쳐 신경 쓸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이직에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42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력직 채용 평가 기준을 참고해보자.◆경력사항은 '노련하게' 내세워라= 이직을 할 때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는 당연 경력사항이다. 기업들이 경력 채용 전형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도 '경력기술서'(30.2%)였다. 이어 '실무면접'(28.1%), '인성면접'(17.9%), '이력서'(14.5%) 등의 순이었다. 경력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좋은지 물었더니 절반에 가까운 46.2%가 '전문·능숙 수준'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등 실무 경험'(27.9%), '다양한 경험 보유'(13.6%), '경력 연차'(4.3%), '실적 수준'(2.6%), '전 직장 수준'(2.6%) 등이 뒤따랐다.◆근속연수도 관리해라= 이직도 다 때가 있다. 때를 잘 잡으려면 근속연수도 관리해야 한다. 쉽게 이직하거나 책임감이 없을 것 같은 인상을 주기 때문. 기업의 82.4%는 지원자의 근속연수가 짧거나 이직이 잦을 경우 감점을 준다고 했다. 짧다고 생각하는 근속연수 기준은 '1년 이하'(46.5%)와 '2년'(36.7%)이 주를 이뤘다. 75.4%는 역량이 우수하더라도 근속연수가 짧다는 이유로 탈락시킨 지원자가 있었다.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경력연차는 평균 4년차였다.?평판조회에 주의해라= 이전 직장을 상대로 하는 평판조회에도 대비해야 한다. 기업 10곳 중 3곳(31%)은 경력직원을 채용할 때 평판조회를 실시한 경험이 있었다. 평판조회를 실시한 이유로는 '성향 등 면접만으로 알기 힘든 게 있어서'라는 이유가 66.9%(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평판조회는 주로 전 직장의 '직속 상사'와 '인사담당자'(각각 35.4%, 복수응답), '팀 동료'(32.3%)를 통해 했으며, '근무태도'(58.5%, 복수응답)나 '이직 사유'(46.2%), '인성·인격'(43.8%), '대인관계·사회성'(36.9%), '성격·성향'(34.6%) 등 인성 관련 내용을 물었다.◆이런 경력자는 '탈락 1순위'= 반면 기업들이 뽑고 싶지 않은 경력직 지원자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능력에 비해 높은 연봉 등 요구하는 유형'이 40.5%로 1위였다. 이 밖에 '문제를 일으킨 적 있는 트러블메이커 유형'(21.4%), '경력 및 성과를 부풀리는 유형'(13.1%), '전 직장 상사 등에 불만 표출하는 유형'(7.4%), '본인 커리어의 목적·방향이 불분명한 유형'(6.7%), '능력만 믿고 회사에 대해 파악 못한 유형'(5.2%) 등이 있었다.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