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중국이 지난해 초 이어도 관할권을 주장하며 이어도를 해양감시선과 항공기의 정기 순찰 대상에 포함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군사전문가들은 군사적인 영역을 넓히기와 이어도를 포함한 동중국해의 천연자원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한국정부가 1995년 이어도 일대에 과학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조사 활동을 벌일 때부터 중국은 공사 중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한국의 과학기지건설이 추진되자 2006년에는 공식적으로 "이어도에 대한 한국의 관할권을 인정할 수 없다"며 이어도를 자국 관할 수역이라고 주장했다.중국이 이어도를 두고 공세적 태도를 강화하는 데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어도를 포함한 동중국해에는 최대 1000억 배럴의 원유와 72억t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배타적경제수역(EEZ)은 한 국가의 연안으로부터 200해리(370.4㎞)까지로 설정한다. 이어도가 마라도에서 149㎞, 중국의 퉁다오(童島)에서 250㎞ 떨어져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양국 해안선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한국 EEZ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 때문에 중국은 이어도가 자국 대륙붕에 연결된 암초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중국이 이어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중에 하나는 군사적인 요인이다. 그동안 중국은 대양해군을 2050년까지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해군력을 착착 늘려왔다.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거점인 괌·하와이 등을 포함해 전 세계를 작전권에 넣겠다는 의미다. 중국의 대양해군꿈을 펼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 류화칭(劉華淸·유화청) 당시 해군사령관이 밝힌 이른바 '도련'전략이다. 도련은 섬을 사슬로 이어 해양방위 경계선을 만들어 전세계를 작전권안에 흡수하겠다는 의미다. 중국은 2010년 오키나와∼대만∼남중국해로 연결되는 제1 도련선의 제해권을 장악한 데 이어 2020년 제2 도련선(사이판∼괌∼인도네시아)까지 확대하고 2040년에는 미 해군의 태평양·인도양 지배를 저지한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현재 인민해방군 해군은 병력이 총 25만5000명에 달한다. 구축함 26척, 프리깃함 49척, 대형 상륙함 27척, 중형 상륙함 31척, 쾌속정 200척 이상 등이다. 또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항공전력도 만만치 않다. 항공분야에 근무하는 해군병력은 총 2만6000명 수준이며, 보유 항공기는 400대에서 500대에 달한다. 이밖에 1만명에 달하는 해병대 전력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해군의 연이은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도련선 봉쇄를 깨고 미국의 앞마당으로 진출하려는 것으로 수동적인 근해 방어에서 벗어나 태평양에서 공격적인 작전을 수행하는 의미다.
전력도 늘어나고 있다. 대양해군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건은 필요했다. 해군전력이다. 이에 중국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짧은 기간 내에 다양한 유형의 구축함과 호위함, 잠수함들을 속속 건조했다. '중국판 이지스함'으로 란저우급(7000t급)을 비롯, 약 30척의 대형 구축함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해군은 이들 2척을 포함해 총 6척의 JIN급 전략핵잠수함을 보유할 예정이다. 또 디젤추진 잠수함 58척 등 총 66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 또 항모건조를 2020년까지 2척을 배치하고 추가로 핵 항모도 건조해 2050년에는 총 4척의 기동항모전단을 만들 계획이다. 중국은 또 1998년 우크라이나로부터 도입한 6만7000t급 항모 바랴그를 개조, 지난해 8월 첫 시험 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친 뒤 시험을 계속하고 있다. 이 항모는 일본·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이 벌어지고 있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필요할 경우 이어도 인근 등 제주 남방해역에도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특히 비밀리에 개발했다는 둥펑(東風)-21C는 미국 항공모함도 안심할 수 없는 미사일이다. 그동안 각국들이 개발해온 대함미사일은 순항미사일이 전부다. 탄도미사일은 대기권밖에 진입했다가 떨어지기 때문에 체공시간동안 이동표적의 위치가 달라진다면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개발에서 배제됐다. 빠르기는 하지만 이동표적을 겨냥한 미사일로는 맞지 않다는 것이다.탄도미사일의 속도는 초속 약 3km로 F-15 전투기 최대속도의 약 4배에 이른다. 이에 발사에서부터 목표지점 도달시간이 매우 짧다. 단거리 미사일의 비행시간은 몇 분에 불과하며, 대륙간 탄도미사일의 비행시간도 30분 안팎이다. 이에 중국이 대함미사일로 탄도미사일을 개발했다면 방어체계를 구축되지 않는 미항모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다. 실전배치된 둥펑(東風)-21C는 사정거리 1500㎞에 오차범위가 10m일 정도로 정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탄도미사일은 방공시스템을 피해 항모를 타격한후 14층으로 된 항모의 갑판을 뚫고 2차 폭발하면서 선체 바닥에 큰 구멍을 내 항모를 20분내에 격침시킬 수있다. 4000명의 장병과 함재기 80대가 순식간에 바다에 가라앉게 된다.여기에 최근에는 대형 수송기 윈(運)-20기 시험비행도 성공한 것으로 알졌다. 윈-20기는 이날 시안(西安)의 옌량(閻良)기지에서 젠(殲)-15기의 호위 아래 첫 시험비행을 무사히 마쳤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지난 2006년 개발에 착수한 장거리 대형 수송기가 전력화가 앞두고 있다는 것이다.
윈-20기은 그동안 인터넷 포털 소후 군사뉴스 등 현지 매체들이 군사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하면서 외부에 노출되기도 했다. 윈-20이 중국 공군 시험 비행원이 위치한 산시(陝西)성 옌량(閻良) 비행장에 대기중인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되기도 했다. 중국 전설상의 대형 물고기와 새를 의미하는 `쿤펑'(鯤鵬)으로 불리는 윈-20기는 길이 47m, 날개길이 43m. 높이 15m 크기다. 최대 이륙중량은 220t, 최대 적재중량 66t, 지속 운항거리 7800㎞, 최고속도 시속 700㎞로 대형 수송기 분야에서 세계 최고로 평가되는 미국의 C-17을 겨냥해 개발됐다.중국군 당국은 윈-20이 군 병력과 물자를 수송할 수 있으며 특히 탱크, 대형 헬기, 장갑차 등도 실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이 수송기는 공중경보기 및 공중 지휘본부로 활용될 수 있으며 민수용 수송기로도 전환 가능하다고 덧붙였다.중국은 윈-20이 취역하면 군 장비와 인력을 대량으로 국외수송할 수 있게 되는 등 원거리 전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은 첫 항모 랴오닝함 취역 이후 서태평양까지 진출, 원양 해군 훈련을 시행하고 해외 군사거점 확보를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아시아ㆍ태평양에서 미국의 견제를 뚫고 영향력을 확대하려면 해군과 공군의 원거리 전력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무기개발 및 훈련계획을 추진하고 있다.중국은 2007년부터 러시아의 대형 수송기를 기초로 윈-20 개발에 착수했으며 지난해 시제품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대형 수송기 개발로 중국의 원거리 전력이 더욱 강화됐으며 이는 일본과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미국과의 아시아·태평양 패권 경쟁에서 중국의 발언권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중국의 첫 항공모함인 랴오닝(遼寧)함 함재기로 낙점된 젠(殲)-15가 12기가 양산 단계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 군사전문사이트 '페이양(飛揚) 군사논단'은 최근 랴오닝함 갑판 활주로에 초근접 비행하는 젠-15 사진을 게재한 바 있다.전문가들은 젠-15가 함모의 이착륙훈련은 물론 '터치 앤 고(touch and go)' 훈련까지 모두 마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터치 앤 고는 활주로에 일단 바퀴를 댔다가 착륙 완료 절차로 접어들지 않고 곧바로 엔진 출력을 높여 이륙하는 것으로, 이·착륙 능력을 숙달하는 전통 훈련 방식이다.2010년 시험비행 과정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J-15는 러시아 함재기 수호이(SU)-33을 바탕으로 중국이 독자 개발한 전투기다. SU-33을 개량한 J-15의 정확한 제원, 성능은 아직 공개된 것이 거의 없다.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