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러닝포럼]수업장면 공유하는 성남西中이 모델

전문가 주제발표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조민서 기자, 김지은 기자]"그간 축적된 정보통신기술(ICT)역량과 학습콘텐츠를 보강하면 스마트러닝은 누구나 꿈과 끼를 펼치는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적인 측면은 물론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10일 아시아경제ㆍ아시아경제팍스TVㆍ강은희 국회의원이 공동 개최한 '제 3회 아시아경제 스마트러닝포럼'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전문가들은 스마트러닝의 발전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스마트교육 R&D본부장은 '창조경제시대, 창의인재육성과 스마트러닝의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스마트러닝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서비스 중 교육분야의 선도적 사례"라면서 성남서중학교의 사례를 소개했다. ◆ ICT접목된 교실 멀지 않다=이 학교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수업 장면을 교사들끼리 공유하면서 서로의 수업 노하우를 나눈다. 특히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교사들은 직접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한다.  이 학교처럼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이 교육에 접목됐을 때 우리의 교실환경도 달라진다. '가상 교실'로 전문가 연계를 통한 현장 체험 학습이 가능해지고, 글로벌 커뮤니티를 통해 세계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교류할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산간 등의 지역학생들이나 장애인 등 소외계층들에게도 화상원격교육으로 교육혜택도 제공할 수 있다. 무엇보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모바일 교실'은 지금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발전 모델이다. '스마트 러닝'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꿈과 끼'를 찾는 행복교육과도 맞닿아 있다.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서책형 교과서와 연계한 디지털교과서 중심의 완결학습 체제를 갖추면 교과서만으로도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해진다.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될 뿐만 아니라 강의식ㆍ전달식 수업은 발표, 토론, 조사 등 학생 참여 수업으로 변화한다. 또 각 학생별로 눈높이 맞춤학습 지원이 가능해져 현재 우리 교육의 최대 문제인 과도한 사교육도 줄일 수 있게 된다. ◆ 스마트러닝 농산어촌에서 전국 확산기대=스마트러닝은 도시와 농촌, 대도시와 소도시, 계층간의 교육격차 해소에도 도움이된다. 농촌학교의 약40%(1896교)는 60명 이하 소규모학교이고 대부분 농촌학교 인근에 학원이 전혀 없어 학습결손 보충이 어렵고 영어 및 예체능 능력 계발에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도ㆍ농간 기초학력의 격차는 작으나, 고학년일수록 특히 중학교 단계 보통이상 수준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경제ㆍ사회적 여건이 열악하다 보니 아동기와청소년기 학생들의 성장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각종 체험기회가 부족하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스마트기기의 보유비율도 농촌은 66.5%로 도시(69.9%)보다 낮다. 이에 박근혜정부는 스마트러닝의 전국적 확산에 앞서 농산어촌의 ICT활용과 보급확대에 나섰다. 이에 대해 임연기 공주대 교육학과 교수는 '농촌교육의 발전 방향과 ICT 활용 시범운영학교의 중점 과제'의 주제발표에서 "가장 열악한 농촌학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중학교 무상의무교육을 1985년 도서벽지에서 시작해 읍면지역으로 확대하고 2002년에야 전국 모든 지역으로 확대한 것과 같은 농촌 우대정책 추진의 성격을 갖는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임 교수는 이어 "스마트러닝은 농촌학교에 국한하지 않고 전국적 추진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 추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서 "따라서 국가수준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러닝 추진 전략을 그대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다만 농촌학교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새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촌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시범운영학교는 농촌학교의 보존과 육성이라는 방향 하에서 특히 자신감 있는 사람, 자기관리를 잘 하는 사람, 사회적 능력이 있는 사람을 기르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종적으로는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과 단위학교 간에, 횡적으로는 가정, 학교, 지역 간에 통합적이고 협력적인 농촌교육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숙 본부장은 "스마트러닝은 교육 콘텐츠 다양화, 학습 공간 확대, 정보기술 발전에 따른 다양한 학습도구 활용, 학생 별 개별화된 커리큘럼 등 교육 체제의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며 "스마트러닝 실현을 위해서는 올바른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국민들의 공감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김지은 기자 muse86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사회문화부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사회문화부 김지은 기자 muse86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