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사태, 잔인한 9월의 서막?

[아시아경제 뉴욕=김근철 특파원]갑작스런 '시리아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하면서 9월 위기론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기존 9월 위기론의 양대 진원지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3차 양적완화 규모 축소와 미 정치권의 정부 부채 한도 협상 문제였다. 여기에 최근 시리아 사태의 파장까지 가세해 상승효과를 일으키면 금융시장의 불안과 변동성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실제로 뉴욕증시가 보여 준 최근 이틀간의 폭락세는 시장의 고민과 우려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다우지수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장 마감을 1시간 앞두고 나온 존 케리 국무장관의 시리아 아사드 정부군의 화학 무기 사용 발언에 하락세로 급반전했다. 다음 거래일인 27일엔 다우지수를 포함한 주요 지수들이 개장부터 폭락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무려 170.22포인트가 빠져 1만4776.13에 마감했다. 두 달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나스닥지수도 하루에 2%나 내려앉았다. 시리아 사태의 전략적 중요도를 감안하더라도 시장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는 셈이다. 월스트리트에선 9월 금융 상황을 어둡게 보고 있던 투자자들이 시리아 사태를 계기로 일찌감치 매도에 나서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D.A데이비슨앤드코의 프레드 딕슨 투자전략가는 이날 투자 노트를 통해 "미국이 시리아에 개입하기로 하면서 시장이 조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상황이 얼마나 악화될지 모르겠지만 그동안 이어진 랠리로 많은 이익을 봤던 트레이더들로서는 이 악재를 핑계로 투자 규모를 줄이고 관망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고 진단했다. 시리아 사태가 '울고 싶을 때 뺨을 때려 준' 상황이 됐다는 의미다. 크레이그 존슨 파이퍼제프리 애널리스트 역시 "투자자들의 경계심리가 더 짙어졌다"면서 "최근 증시 약세는 필요한 조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시리아 리스크가 불거진 26일부터 글로벌 투자자금이 급격히 증시를 빠져나와 안전자산으로 대피하고 있는 분위기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금 가격은 전날 오후부터 심리적 저지선이었던 1400달러를 뚫고 상승하더니 27일에도 2%나 올라 1420.20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5월 중순 이후 최고치다. 시장 전문가들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9월 변동성과 반비례해서 더 상승할 여지가 충분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식에 비해 안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채권시장도 강세를 보였다. 사흘째 떨어진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이날 2.713%까지 하락했다. 사흘 낙폭으로 2012년 6월 이후 최대치다. 그만큼 채권 가격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시리아 사태가 촉발한 중동 지역 불안으로 원유 가격이 치솟고 있는 것도 증시에는 큰 악재다. 존 킬더프 어게인캐피털 매니저는 "시리아 사태로 당분간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글로벌 경제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쳐) 주식 시장도 상당한 조정을 받게 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9월에 들어서면 시리아 사태 말고도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매머드급 악재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FRB는 다음 달 17~18일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850억달러(95조470억원) 규모의 채권매입 규모 축소에 대한 집중 검토에 들어간다. 시장에선 FRB가 당초 예상됐던 200억달러 규모에는 못 미쳐도 축소 폭을 줄여서라도 출구 전략을 시작할 것이란 전망이 만만치 않다. 미국 정치권의 정부 부채 한도 상향 협상도 한 치의 진전이 없는 상태다. 보다 못한 제이컵 루 미국 재무부장관은 26일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 규모가 오는 10월 중순쯤이면 한도인 16조7000억달러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며 9월 의회에서 신속히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미 언론들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합의를 찾지 못하면 11월1일엔 미 정부가 채무 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할 수밖에 없는 처지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래저래 글로벌 금융시장은 '잔인한 9월'을 피해갈 수 없을 전망이다. 김근철 기자 kckim10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근철 기자 kckim10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