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안전 위협하는 3대 위해요소 '중금속·잔류농약·식중독균'[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우리나라 국민들은 식품에 중금속·잔류농약 등 유해 물질이 들어갈까 불안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량식품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불량식품 사범에 대한 처벌과 감시활동을 강화해달라는 의견이 많았다.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4월15일~5월24일 1257명을 대상으로 '불량식품 근절 및 안전한 먹을거리'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은 의견이 주를 이뤘다.가장 불안한 불량식품 판매 유형으로는 '사용이 금지된 원료·물질을 식품에 넣는 행위'(52.8%)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품질·가격 등을 속여 판매하는 행위'(16.6%), '비위생적으로 음식을 만들어 팔거나 재사용하는 행위'(14.4%), '정식으로 인·허가, 신고되지 않은 식품을 판매하는 행위'(9.7%), '저가·저품질 제품으로 어린이를 현혹하는 행위'(6.5%) 등의 순이었다. 인체에 해롭거나 비위생적이고 품질이 낮은 식품 전체가 불량식품으로 분류된 것이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독·유해물질 사용, 부패·변질, 중량 변조, 허위 표시, 다른 회사 제품으로 오인·혼동하게 판매하는 식품 등 14가지 유형의 위반 사례를 불량식품으로 간주하고 있다.식품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소(3개 선택)로는 '중금속'(58.3%), '잔류농약'(46.7%), '식중독균'(36.1%), '바이러스'(35.6%)가 지목됐다. 이 밖에 '동물용의약품'(25.1%), '유전자재조합(GMO) 식품'(19.6%), '의약품 성분'(20.0%), '방사선 조사'(18.7%), '이물질'(12.0%) 등도 나왔다. 특정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는 정보를 접했을 때 국민의 69.4%는 '문제의 식품을 한동안 먹지 않았다'고 답했다. '식습관을 완전히 바꿨다'고 밝힌 비율도 15.2%나 돼, 국민 대다수가 불량식품에 즉각 반응했다. 그러나 정작 불량식품 관련 정보를 접하기는 쉽지 않았다. 국민의 절반 가까이(49.6%)는 '불량식품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접하고 있지 않다'고 답한 것. 73.8%는 식약처에서 운영중인 부정·불량식품 신고 전화(1339)나 애플리케이션 식품안전파수꾼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했다.최근 정부가 추진중인 불량식품근절을 위해서는 '불량식품 사범에 대한 처벌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4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량식품에 대한 감시활동 강화'(23.1%), '식품관련 사고의 발생 원인 심층조사'(9.8%)등의 조치를 취해달라는 의견이 뒤따랐다. 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