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한 결과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정맥혈전증 예방을 위해 모든 환자들에게 헤파린과 같은 약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정맥혈전증은 인체의 정맥, 특히 하지의 정맥에 피가 응고해 혈전이 생성되고 이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맥혈전증은 혈전이 떨어져나가 폐혈관을 막아버리는 폐색전증으로 발전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도 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서양에서는 정맥혈전증의 빈도가 매우 높아 암 수술을 받는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를 예방하는 항응고 약제인 헤파린을 수술 전후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위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환자에게서 수술 후 정맥혈전증이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항응고제는 출혈 위험을 높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국내에서는 암 수술 시 헤파린을 서양만큼 흔히 사용하진 않는 실정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암센터 김형호(외과), 이근욱(종양내과), 전은주(영상의학과) 교수팀은 보다 효율적인 항응고제 사용을 위해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나타나는 정맥혈전증 발생률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했다.2010년 5월에서 2011년 7월까지 위암 수술을 받은 37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정맥혈전증 발생 빈도를 분석한 결과 정맥혈전증이 발생한 경우는 9명으로 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양에서 정맥혈전증의 예방 약제를 사용할 것을 권고할 때 통상적인 기준인 10% 빈도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치이다.또한 위암 1, 2, 3기의 경우에는 정맥혈전증이 지극히 드물게 나타나는 반면 4기 환자의 경우 정맥혈전증이 10%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암 진행 단계에 따라 항응고제의 예방적 사용을 조절하는 기준을 제시했다.이번 연구는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정맥혈전증의 발생률에 대한 최초의 연구 결과로 위암 발생률이 높은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대규모 연구를 시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위암 수술 후 정맥혈전증 발생률이 2.4%로 매우 낮음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 모든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맥혈전증 예방을 위한 약제를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오히려 출혈 등과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을 증가시켜 환자의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위암의 병기에 따라 선별적으로 예방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근욱 분당서울대병원 암센터 종양내과 교수는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정맥혈전증의 발생률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지금까지 없었다"며 "우리나라에서는 위암 수술 후 정맥혈전증 발생률이 서양보다 낮은 만큼 정맥혈전증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위암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예방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보경 기자 bkly477@ⓒ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