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힌 상점이 많은 동대문 패션타운 건물의 내부.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옷 사는 것도 안 바래요. 보러오는 사람이라도 많았으면···." 동대문 쇼핑몰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29일 찾은 동대문 패션타운의 한 쇼핑몰에는 상품이나 행사 내용이 아닌 ‘공실, 정지, 생존권 쟁취’ 등의 고지문이 붙어있었다. ‘라모도’는 오피스텔동을 제외하고 전체가 폐쇄됐고, 거평프레야로 출발했던 ‘케레스타’ 역시 대부분의 상가가 개점휴업 상태였다. ‘굿모닝시티’ 역시 3개 층은 공사, 나머지 층도 공실이 많아 제대로 영업이 되지 않고 있었다. ‘패션TV’는 롯데자산개발이 인수한 후 리뉴얼 작업이 늦어지면서 5월 이후로 오픈이 연기된 상태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주인이 바뀐 이들 쇼핑몰 중 대부분은 2006년~2008년 사이 준공되거나 문을 열었다. 굿모닝시티는 4500개의 점포를 내세우며 공격적인 시장 진입을 선포했지만 대표의 분양사기로 부도를 맞았다. 이후 2008년 가까스로 문을 열었으나 성공을 거두진 못했다. 패션TV는 2007년 5월 준공됐지만 사업자간 대립으로 개점도 하지 못한 채 방치되다가 롯데자산개발에 인수됐다. 라모도는 미국발 금융위기를 촉발했던 리먼브라더스가 2004년 665억원을 투자했다. 그러나 2006년 오픈 이후 저조한 분양실적과 분쟁으로 위기를 맞았다. 사기분양으로 홍역을 치렀던 맥스타일 역시 2007년 분양을 시작했지만 허위과장광고 등으로 사업자와 임차인간 갈등이 커지면서 경영난을 겪었다. 최신식 시설과 규모를 내세워 두타나 밀리오레 등의 터줏대감과 치열한 상권 경쟁을 예고했지만 결과는 참패였다. 서울 중구와 동대문구에서 경매로 넘어간 상가는 지난 2006년 7월 513개에서 2008년 1204개로 691개나 증가했다. 초기 단계 정착에 실패한 대형 쇼핑몰들은 시간이 지나도 만회하기 쉽지 않은 모습이다. 지난 1996년 동대문 상권에 처음 현대식 쇼핑몰로 등장한 케레스타(구, 거평프레야)가 대표적인 예다. 거평그룹의 부도로 시작된 소유권 분쟁과 매각 작업에서 일어난 채권자와 임차인들과의 갈등은 지금까지도 봉합되지 못하고 있다. 케레스타 상인 S씨는 “제대로 장사한 기간은 2년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보증금이라도 받아 보려고 십수년간 싸워오는 동안 결국 못 받고 죽은 사람도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실제로 29일에도 케레스타 안에서는 채권자가 고용한 사람들이 쇠사슬을 들고 다니며 몇몇 가게를 폐쇄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고, 미납된 전기세로 단전조치를 경고하는 한국전력의 공지문이 붙은 곳도 볼 수 있었다. 케레스타 세입자 대책위원장 이영배(62)씨는 “단체 관광객들이 오면 버스는 우리 건물 앞에 대고 쇼핑은 두타나 밀리오레로 넘어간다”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날 쇼핑몰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만리(24)·첸(22)씨도 “안내 책자를 보고 왔는데 생각했던 쇼핑몰 분위기가 아니다”며 발길을 돌렸다. 쇼핑몰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분쟁 등이 이어지며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실한 안내도마저 혼선을 주고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출구 벽면에는 30여개의 동대문패션타운 쇼핑몰 안내도가 붙어 있었다. 사실상 영업을 하지 않는 라모도나 패션TV, 케레스타도 표시돼 있다.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협의회 홈페이지에도 이들 건물은 정상 영업 중인 것으로 버젓이 나와있다. 동대문 상권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동대문관광특구협의회 신안나 과장은 “일시적인 상황이라고 생각해 별도로 수정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구청은 다른 반응을 보였다. 중구청 문화관광과 송재승 주임은 “관광객들과 쇼핑객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만큼 고지물에 대한 수정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동대문에서 9년째 점포를 운영했다는 한 상인은 “장사하러 왔다 돈만 잃고 가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라며 “한 건물당 상가가 몇 천개씩 있는데 또 짓고 있으니 잘 될 리가 없지 않느냐”며 공급과잉이라는 시각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대책위원회 같은 것만 지금 몇 개째 만들어졌는지 모르겠다”며 중구청이나 시 차원에서 중소 상인을 보호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대안을 만들어달라고 주문했다. 이혜영 기자 itsm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편집국 이혜영 기자 itsm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