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감히 틈입 할 수 없는 구중궁궐이지만, 누구의 손에 죽임을 당할지 모르는 것이 왕의 자리. 정국이 혼란스러울수록 왕인 광해(이병헌)의 속내는 불안과 불신으로 어지럽기만 하다. 그런 광해의 명령으로 왕의 대역을 찾아 나선 도승지 허균(류승룡)은 기방 광대 놀음으로 먹고 사는 하선(이병헌)을 발견하고, 출신답게 하선은 광해의 외모 뿐 아니라 목소리까지도 똑같이 흉내 낼 수 있는 인물이다. 때마침 광해가 쓰러져 의식을 잃자, 허균과 내관 조 씨(장광)는 하선을 내세워 광해를 치료 할 시간을 벌고자 한다. 왕의 경호원 격인 도부장(김인권)은 물론 중전(한효주)까지도 속여야 하는 가짜 왕은 그러나 자꾸만 궁의 일들이 불합리하고, 왕의 자리가 안타까워 진다. <hr/>
조선시대 궁중옴므, 2012 F/W 프레타포르테 점령
왕과 천민. 자리를 바꾼 두 사람의 이야기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꾸준히 반복되는 테마다. 그러나 <광해>는 주관적 이해와 객관적 실천이라는 지극히 순진하고 단정한 프레임을 통해 광해의 자리를 되새긴다. 왕이 된 하선은 탐욕과 만용을 부리는 대신 상식적이고 인간적인 시선으로 판단의 기준을 마련하고, 정치의 수를 논하는 허균을 앞질러 그가 던지는 질문들은 타인과 다수를 위한 것이기에 오히려 참신하다. 왕이 천출의 자리에서 세상을 보는 부분을 생략한 이 영화는 대신, 광대에 의해 변화하는 궁의 모습을 객석이 지켜보게 함으로써 모두가 왕과 왕의 세상을 고민하게 만든다.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 뚜렷하다. 그러나 <광해>는 교조적인 태도나 선동적인 무게에 짓눌리지 않고 끝내 이야기로서 제 속도를 가져간다. 다만 그 속도와 뚝심이 세련되거나 혁신적인 것은 아니다. 영화가 빚어내는 왕은 온정과 연민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지나치게 이상적인 그의 모습은 차라리 환상에 가깝다. 궁의 주변 인물들 역시 앞과 뒤가 똑같은 동전처럼 부여 받은 역할을 수행한다. 영화는 관객과 게임을 벌이는 대신 보여주고 싶은 것과 보고 싶은 것의 아름다운 결합을 구현해 낸다. 하지만 그것이 안일한 선택으로 보이지 않는 것은 곁눈질 하거나 돌아보지 않고 묵묵히 직진하는 이야기의 밀도, 그리고 틈 없이 제 몫을 하는 배우들의 힘이다. 특히 광대와 왕이라는 극단적인 두개의 캐릭터를 소화하는 것은 물론, 두 인물이 하나의 상으로 겹쳐지는 지점까지 감정의 미묘한 단계를 빠짐없이 그려내는 이병헌의 존재는 영화가 대중을 설득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다. 드라마는 물론 멜로와 코미디까지 섞어가며 뭉근하게 달아오르는 영화가 부글부글 끓지 않고도 가장 뜨거운 온도에 도달하는 것 역시 이병헌과 배우들이 차근차근 쌓아 온 감정의 켜가 두터워진 덕분이다. 투박하지만 단단한 주먹이라 제대로 맞으면 흉통이 오래 남을 영화다. 13일 개봉.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윤희성 nine@<ⓒ즐거움의 공장 "10 아시아" (10.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취재팀 글. 윤희성 nin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