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금리 담합 논란..'외국인 파생상품 대거청산 우려'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담합 논란의 파장이 파생상품시장에까지 튈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CD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이 4500조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어 CD금리가 조작됐다고 결론나거나 조작논란으로 폐기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파생상품 대거 청산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CD금리를 기초로 한 파생상품은 이자율스와프 4332조원, 이자율선물도 5조1000억원, 이자율옵션 250조3000억원 등 총 4587조원에 달한다. 이밖에 CD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구조화채권인 변동금리부사채(FRN)가 20조3000억원, 파생상품연계증권(DLS)이 6조8000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CD금리를 변동금리로 이용하는 3년 원화 이자율 스와프(IRS) 시장은 공정거래위원회의 CD금리 담합 조사 이전 연 2.86%에서 전날 장중 한 때 연 2.62%까지 급락했다가 2.75%에 마감했다. IRS가 하락한 것은 CD금리가 그간의 예상과 다르게 하락하면서 변동금리를 받고 고정금리를 지급한 투자자들이 손해를 보고도 매도에 나선 탓이다.금투협 관계자는 "구조화채권, 이자율 스와프 등은 평균 만기가 10년이며 20년짜리도 있다"며 "CD금리가 조작으로 결론 나거나 조작논란으로 폐기된다면 모든 물량을 재계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자율 스와프는 3개월에 한 차례 결제가 이뤄지지만 선도계약이나 옵션계약은 매일 가격이 바뀐다. 이에 따라 CD금리가 하루만 고시되지 않아도 결제가 이뤄지지 않아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FRN이나 DLS의 경우 기초자산인 CD금리가 없어지면 대체가격을 결정하거나 청산절차를 밟게 된다. 그러나 기초자산이 바뀌는 경우 어떻게 대처할지 규정이 없는 상품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체금리가 생긴다고 해도 하루아침에 안정되는 게 아니므로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파생상품을 대거 청산해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김유리 기자 yr6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유리 기자 yr6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