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번복' 이한구 국회 연설에 야유…논란 지속될 듯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정치를 쇄신하겠다는 국회가 본회의에서 고성과 야유로 얼룩진 모습을 또 다시 연출했다. 최근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의 책임을 지고 사퇴 입장을 밝혔다가 닷새 만에 번복한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는 도중 야당 의원들로부터 야유가 쏟아져 소동을 빚었다.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약속을 지키는 국회가 되어야 하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국회의원의 특권을 내려놓는 국회가 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자 야당 의원들의 야유가 쏟아졌다. 야당 의원들은 이 원내대표를 향해 "약속은 지켜져야 합니다", "본인이 한 약속은 안 지키느냐"며 비난했다. 새누리당 의원들 역시 야당 의원들의 야유에 "예의를 지켜라"고 맞받아치면서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야유와 고성이 계속되자 이 원내대표는 "ㅇㅇㅇ 의원 좀 조용히 해주세요",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습니다"라고 맞대응했다. 그는 강창희 국회의장을 향해 "의장님은 지금 뭘 하고 계세요?"라고 지적했고, 이에 강 의장은 "조용히 해달라"며 장내 정리에 나서기도 했다. 이 같은 모습은 지난해 4월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가 야유를 받은지 1년 3개월 만에 재연됐다.이 원내대표가 야유를 받은 것은 최근 정두언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원내대표가 이날 언급한 '6대 쇄신안'에는 국회의원 불체포특권도 포기돼 있었다. 그는 정두언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직후 책임을 지고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사퇴 반대' 이후 업무에 복귀했기 때문이다.이날 이 원내대표는 '정치개혁'을 강조했다.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며 "정작 실천을 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쇄신과 더불어 민생제일주의 정치로 국민의 변화의 욕구에 화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생제일주의 정치 실현을 위해 ▲민생안보 의식 필요 ▲공정한 경제체제 운영 ▲대의민주주의를 선진국 수준 견인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정통성 재정립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특히 체포동의안 자동 가결토록 하고, 국회의원 보좌진의 친인척 임용 금지, 본회의 출석 의무 강화 등 새로운 국회 쇄신 방안도 제안했다.그러나 이 원내대표의 사퇴 번복을 둘러싼 정치권의 논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성호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이날 본회의 직후 "야당 의원은 체포에 동의하고 여당 의원은 체포를 거부한 이 원내대표는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는 사람"이라며 "마치 '장기판의 졸'처럼 박 전 위원장 입만 쳐다보고 있는 이 원내대표의 연설은 신뢰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한편 이 원내대표는 이날 본회의 직전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의 명령을 계속 거부할 수 없었고 대선이란 중요한 과정이 있기에 당의 이미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책임이 있다"며 "제가 뱉은 말을 그대로 지킬 수 없는 것을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말했다.이민우 기자 mwle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민우 기자 mwle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