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블로그]'알뜰폰'이라 부르는 이유

김민진 아시아경제 노조 지부장

산업2부 김민진 차장정보통신기술(ICT)분야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면서도 그 용어나 설명은 꽤 난해하고 생소하다.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TV나 24시간 우리 생활에 밀착돼 있는 휴대전화의 기능이나 종류를 설명하는 명칭 또한 금방 들어서는 이해가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예를 들어 '블랙리스트(Black List)제도'만해도 얼핏 들어 그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 블랙리스트제(지금은 '단말기자급제'로 더 많이 불린다)는 대형마트나 판매점 등 유통업체를 통해 휴대폰을 공급받아 개통하는 개방형 등록방식을 말한다. 지금껏 우리는 SK텔레콤이나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를 통해 휴대폰을 공급받아 개통하는 '화이트리스트(White List)'제도(그렇다고 화이트리스트제도라는 용어가 익숙한 것도 아니다)를 이용해 왔는데 블랙리스트제도는 이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블랙리스트제도는 도난이나 분실된 휴대폰 등 문제가 있는 단말기만 이동통신망 접속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ICT 관련 정부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소비자의 선택권 보호와 통신비 절감을 목적으로 마련한 정책인데 방통위가 정책홍보 과정에서 그것을 '단말기자급제'라는 용어로 바꿨다. "용어가 너무 이해하기 어렵다"는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의 의견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지난 5월 단말기자급제 시행으로 날개를 단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도 마찬가지다. 가상이동망사업자 또는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로 풀이되는 MVNO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파수를 보유하지 않고 주파수를 갖고 있는 이동통신망사업자(MNO)의 망을 빌려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공급자 시장에 다양한 경쟁체제를 형성시켜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의도에서 도입됐다. MVNO는 초기 시장안착에 애를 먹다가 단말기자급제도가 시행된 이후 조금씩 가입자 수의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MVNO가 초기 안착에 실패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중 한가지는 어려운 용어때문이라고도 한다. 관련업계에서조차 이동통신재판매 서비스에 대한 의미를 표현하기 쉽지않고 소비자들을 이해시키거나 기억시키기 어려워 홍보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방통위는 결국 공모전을 통해 여기에 '알뜰폰'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고객들이 통신비를 아끼면서 알뜰하게 생활하는데 이동통신재판매 서비스가 도움이 돼야 한다는 의미에서라고 한다. 여기에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ICT 용어를 쉬운말로 바꾸는 것 만큼 지속적인 정책실행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방통위원장과 상임위원들은 진작에 알뜰폰을 하나씩 개통했다고 한다. 솔선수범 차원에서란다.김민진 기자 asiakm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민진 기자 asiakm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