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옥 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장
사람의 경우 '건강하다'라고 하면 쉽게 그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 혈색이 좋고, 힘이 있으며, 병증이 없는 사람을 건강한 사람이라 판단한다. 생태계의 경우는 크게 3가지 요소를 겸비하면 건강하다고 평가한다. 첫째가 활성이다. 이는 생물의 신진대사가 왕성하여 생장을 잘하는 상태를 말한다. 둘째는 회복성이다. 생물이 질병에 걸렸어도 빠른 시간 내에 치유되어 정상으로 돌아오는 능력을 말한다. 셋째는 유기성이다. 주변의 타 생물과 조화를 잘 이루어 어우러져 살아가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건강한 해양생태계란 활성, 회복성, 유기성을 가진 해양의 생물과 주변 환경이라 정의할 수 있다. 사람은 의사는 문진에 근거해 간단한 진찰을 시작하고 초기 진찰에서 병증이 의심스러우면 좀 더 세밀한 진료를 하게 된다. 생태계는 문진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보내는 시각적인 사인을 보고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먼저 판단하게 된다. 적조현상이나 백화현상과 같이 바다 색깔이 변하는 것이 그 예다. 때에 따라 연안습지의 감소, 토착종의 소멸 등과 같은 이상 증상도 직접 목격할 수 있다. 문제는 해양생태계의 이상 증상이 사람의 눈으로 감지된다면 이미 생태계의 건강성은 심각하게 악화된 후라는 것이다. 따라서 해양생태계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려면 사람처럼 정기적 건강검진이 필요하다.외국에서는 이미 해양생태계에 대한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과 호주에서 실시하는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들 수 있다. 미국의 체사피크만에서는 해양생태계의 주요 생물로 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조간대 식물(잘피류)을 조사하고, 이들 생물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를 동시에 측정해 건강성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호주는 모레톤만에서 수행하고 있는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가 가장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평가법은 바다와 육상의 하천을 동시에 평가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어떤 해역의 건강성이 나쁠 때 그 원인이 어떤 하천에서부터 발생한 것인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가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된다면 건강한 해양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외국에서는 해양생태계건강지수(Marine Ecosystem Health IndexㆍMEHI)로 건강한 정도를 표현해 누구나 쉽게 해양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 건강스코어라 하여 A에서 D까지 차등을 두어 표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인터넷 강국인 만큼 건강성 평가 결과를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한다면 파급효과도 클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오프라인으로도 소식지 발간 등을 통해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한국해양연구원에서 '남해특별관리해역 관리를 위한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연구사업 수행을 통해 일부 연안 지역의 해양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 국한된 연구 결과만 가지고는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해양생태계 이상현상에 대처할 수 없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더욱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건강한 해양생태계는 안전한 수산식품을 제공하고 수산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은 물론 쾌적한 레저 공간을 제공하는 등 우리의 삶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해양생태계 건강 진단을 통해 더욱 건강한 해양환경이 만들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해양을 통해 누릴 수 있는 인간의 삶도 더욱 풍요로워지리라 기대한다. 김영옥 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장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영옥 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장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