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NCR 규제 완화 효과는

[아시아경제 박종서 기자]금융당국이 증권사들의 최저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을 250%로 낮추는 내용의 규제 개선방안을 발표하면서 증권사들에 실질적이 도움이 될지 주목된다. 일단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이 과도하게 자기자본을 쌓아놨던 증권사들의 여윳돈을 투자에 돌릴 수 있게 됐다. 특히 금융당국은 총 6조4000억원대 투자여력이 확보돼 증권사들의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증권사들에게 돌아가는 실제적인 혜택은 제한될 것이란 분석이다. 대형증권사 관계자는 1일 "대형사의 경우 NCR의 업계 평균이 550%를 상회하고 있어서 이번 조치에 대한 메리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에 NCR이 250%로 낮아진 대상업무는 ELW LP,국고채전문딜러(PD)로서 기존에도 시장이 충분이 형성되어있는 만큼 비율 때문에 시장규모 확대 등의 변화는 별로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금융위 관계자도 "업계, 연구원 등에서 과도하게 옥죄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아 필요성을 검토한 후 시행에 옮기는 것"이라며 "하지만 당장 IB업무가 활성화되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다만 NCR 산정방식이 합리화됨으로써 증권사들의 NCR이 전반적으로 상향될 것으로 전망돼 투자여력이 한결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3월 기준으로 자기자본 1조원이상인 10개 대형사의 경우 NCR 산정방식이 변경되면서 평균 36%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기자본 1800억원이하의 소형증권사 14개사의 경우도 평균 29%의 상승효과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자본 1800억원~1조원으로 분류한 중형증권사 22개사의 경우엔 오히려 11%가 하락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부분 규제완화쪽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 거래를 많이하는 경우 NCR규제가 강화돼 오히려 수치가 내려가는 현상을 보였다"고 말했다.한편 NCR은 증권사의 자산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영업용 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구한다. '증권사판 BIS비율'로도 불린다. NCR이 150% 미만인 증권사는 적기시정 조치 대상 이 된다. 박종서 기자 jspar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종서 기자 jspar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