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임플란트 등 노인 대상 의료기기 성장세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급속히 진입하면서 보청기, 치과용 임플란트 등 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청은 보청기 등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의료기기의 제조·수입 및 품목허가 건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2007년~2009년 국내 제조(수입)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치과용 임플란트가 32.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스텐트(19.2%), 보청기(15.1%)순이었는데, 이는 국내 의료기기 전체의 연평균 성장률 9.6%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또한 2008년 이후 품목허가를 받은 건수는 보청기가 635건, 치과용 임플란트가 720건 등으로 전체 품목허가 건수의 절반을 넘어섰다. 스텐드는 전체 허가건수(368건)의 48.4%(178건)가 최근 4년간 이뤄졌다.올 5월 기준 보청기는 60개 업체가 1097건을 허가받았으며, 치과용 임플란트는 121개 업체가 1449건을, 스텐트는 36개 업체가 368건의 허가를 받았다.아울러 최근 기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 개발도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보청기와 뼈 재생을 촉진하는 단백질이 코팅된 임플란트가 대표적인 예다. 특히 스텐트의 경우 혈관 재협착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파클리탁셀(항암제) 등이 코팅된 약물방출 스텐트가 개발돼 공급되고 있다.식약청 관계자는 "고령화시대 의료기기 개발 추세에 맞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신기술을 적용한 의료기기의 신속한 허가를 위해 전담 도우미를 지정하고 허가 요건 및 행정적 절차에 대한 선제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