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B와 ECB의 이상한 동행...“통화 정책 일치”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식품·원유 가격 상승으로 세계 경제에 인플레이션 빨간 불이 켜지면서 신흥국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기준 금리 인상 압박이 커졌다. 그런데 독립성이 강하기로 소문난 중앙은행들도 눈치를 많이 본다. 유럽중앙은행(ECB)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 정책을 뒤따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의 토론방을 맡고 있는 거시금융학자 개빈 데이비스는 9일(이하 현지시간) FT 블로그를 통해 “ECB가 약 10개월 간의 격차를 두고 FRB의 통화정책을 그대로 추종하고 있다”면서 “두 중앙은행의 정책 상관성은 약 0.85를 기록했다” 전했다. 데이비스는 “ECB가 FRB의 통화정책을 의도적으로 답습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면서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방식이 일치하고 달러와 유로의 연관성이 크기 때문에 통화정책이 비슷한 양상을 띠는 것”이라고 말했다. ECB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 임무로 삼고 있지만 FRB는 물가 안정 외에도 완전고용을 목표로 두고 있다. 그러나 두 기관 모두 테일러 준칙 아래 인플레이션 갭(실질 물가상승률과 목표 물가상승률의 차이)과 총생산(GDP) 갭(실질GDP와 잠재GDP의 차이), 주기적 실업에 변화가 있을 때 금리를 조정한다. 이 때문에 두 기관의 통화정책이 일치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데이비스는 설명했다.장 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최근 들어 미국이 세계 경제 주기를 선도하는 경향이 커졌다”면서 “미국의 수요가 증가하고 나면 다른 나라들이 이로부터 이득을 얻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실업률과 GDP 갭 등 경제 지표가 미국에서 먼저 변하고 몇 분기 뒤에 유럽도 영향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ECB가 FRB의 통화정책을 참고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 달러와 유로가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FRB가 금리를 낮췄을 경우 ECB가 이를 따라가지 않으면 유로화의 가치가 급등하기 때문이다. 2002~2003년 ECB가 금리를 낮춘 것도 FRB의 금리 인하 때문이라는 게 데이비스의 설명이다. 데이비스는 “지난 30년간 FRB와 ECB의 통화정책이 상반됐던 적은 손꼽을 정도”라면서 “두 기관의 통화정책이 어긋났을 때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쳤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1999년 ECB 창립 전인 1989~1992년 독일 통일 당시 동독의 수요증가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자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는 통화긴축정책을 실시했지만, FRB는 미국 경기 침체를 이유로 통화완화책을 펼쳤다. 이 때문에 달러는 독일 통화 도이체마르크에 비해 약 30% 가량 떨어졌다. 분데스방크는 1987년에도 루브르 합의를 어기면서 통화긴축정책을 시행했다. 루브르 합의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주요7개국(G7)이 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달러 가치 하락에 제동을 걸기 위해 협의한 것을 말한다. 2008년에는 ECB가 통화완화책을 펼치고 있는 FRB와 달리 유가 상승을 이유로 금리를 인상했다. 데이비스는 “두 중앙은행의 정책이 달라지면서 시장 신뢰도가 폭락했고, 이에 따라 세계 금융위기가 닥쳤다”고 풀이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해수 기자 chs900@ⓒ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