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1월 채무 불이행 '0'...금융위기 이후 처음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유럽 재정위기가 해소되지 않고 있지만 세계 경제 회복세에 발맞춰 자본시장 역시 빠르게 안정화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를 인용, “1월 한 달간 무디스가 등급을 매기는 회사 중 한 곳도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선언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6월 이후 디폴트 기업이 생기지 않은 달은 이번이 처음이다.지난해 1월에 디폴트를 선언한 기업은 8곳이었고, 지난해 월평균 디폴트 기업수는 5곳이었다. 디폴트 비율도 떨어졌다. 1월 디폴트율은 2.8%로, 전달 3.2%·전년동기 12.6%보다 낮아졌다. 유럽지역의 디폴트율은 전달과 변함없이 2.3%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의 디폴트율은 10.5%를 기록한 바 있다.무디스는 스페인, 아일랜드 등 재정불량국들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자본시장은 올 한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내년 1월까지 투기등급 회사채의 디폴트율이 1.5%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투기등급 회사채의 디폴트율이 1.7%, 유럽의 경우 1.1%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산업별로는 미국의 경우 호텔, 도박, 레저 산업의 디폴트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유럽은 광고, 출판 산업이 디폴트 위험군으로 꼽혔다.달러 가중치(달러 거래량을 기초로 한 측정)를 고려한 1월 투기등급 채권의 디폴트율은 전월과 변화없이 1.6%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에는 16.4%까지 치솟았었다.미국의 달러 가중치 투기등급 채권 디폴트율은 지난해 12월 1.6%에서 1월 1.5%로 떨어졌다. 지난해 1월의 경우 16.8%를 기록한 바 있다. 유럽의 경우 1월에도 12월과 같은 1.9%를 나타냈다. 전년 동기에는 12.2%였다.무디스의 알버트 메츠 신용정책 리서치담당 디렉터는 “단기적으로 봤을 때 금융 시장은 안정되고 디폴트율 역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시장에 불안감이 조성돼 자금줄이 마르면, 특히 유럽 지역에서 디폴트율이 상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해수 기자 chs900@ⓒ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