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사실 물량 감소로 적자난이 지속돼 당장 터미널을 반환하고 싶지만, 국토해양부와 관계를 위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입니다."항만 개발과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개발한 광양항과 인천북항 등의 컨테이너 터미널이 물류업체들의 무거운 짐으로 돌아오고 있다.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적자폭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최근 광양항은 컨테이너 물동량 200만 TEU 돌파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로 인해 표면적으로 광양항은 지난 1998년 출발 당시 선포한 부산항과의 양항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원대한 꿈은 실현됐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화려한 겉모습과 달리 속사정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컨테이너 운영사들은 터미널 반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광양항에 위치한 대부분의 터미널 운영사는 월 1억~5억원 수준의 적자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개장을 독려하기 위해 터미널 임대료를 줄여줬던 국토부의 노력도 점차 빛을 바래가고 있다.약 8000억원을 투자한 인천 북항의 경우는 더 심각한 수준이다. 올해 완전 개장을 계획했던 인천 북항은 물동량 확보 문제로 물류업체들이 개장을 미루고 있다. 물동량확보가 보장되지 않는 이상 악순환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 물류업체들의 입장이다.더군다나 20~30년 계약을 파기하고 터미널을 반환해도 불이익이 전혀 없는 구조다. 다만 국토부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적자를 감수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항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물량 확보가 더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당국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컨테이너부두 공단을 항만공사로 전환해 최근 직면한 위기 상황에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눈에 보이는 양적 성장에만 집착하지 말고 질적인 성장을 위한 보다 현실적인 방안 등을 진지하게 고려해볼 때다.임혜선 기자 lhsr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임혜선 기자 lhsr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