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 핵심은 인터넷' 한나라, 디지털 역량 강화 추진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한나라당이 차기 대선을 겨냥해 디지털 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디지털로 상징되는 인터넷 공간은 한나라당이 가장 취약한 분야 중 하나다. 현 정부 들어 ▲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시위 ▲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정국 ▲ 천안함 사태 이후 꼬리를 물었던 각종 음모론 등은 여권의 국정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으로 작용했다. 인터넷 공간에서 진보와 보수 사이의 힘의 불균형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차기 대선국면에서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게 한나라당의 인식이다.한나라당은 새해 예산안 처리 문제로 국회가 한층 시끄럽던 지난 6일과 7일 디지털 분야의 역량 강화와 관련한 의미있는 행사를 가졌다. 지난 6일 여의도당사 7층 디지털 아카데미 교육장에서 '디지털 아카데미' 개원식을 가졌고 7일에는 디지털정당위원회 중앙위원과 지역별 위원장을 임명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난 7.14 전당대회 당시 안상수 대표의 대표적인 공약이다. 안 대표는 전대 과정에서 ▲ 디지털 ▲ 청년 ▲ 교육 등 3가지 분야에 모든 힘을 쏟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진성호 디지털본부장은 이와 관련, "젊은이들과 디지털 공간에서는 양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저희들이 하루 아침에 이것을 뒤집기는 쉽지 않다. 가장 효율적이고 중요한 수단은 교육"이라고 강조했다.안 대표 역시 디지털 역량 강화를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했다. 지난 7일 여의도 당사 6층 회의실에서 열린 디지털정당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서 "사실 제 자신은 디지털에 대해서 아는 게 적다. 그러나 그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제가 대선을 세 번을 치렀는데 디지털의 위력을 가장 절감한 게 노무현과 이회창과의 대결이었다"며 "여기서 이기지 못하면 우리 한나라당은 절대로 정권을 재창출할 수 없다는 것을 저는 잘 알고 있다. 여러분들의 어깨에 정권재창출의 여부가 결정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지난 2002년 대선과 관련, "우리가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으로 이기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나중에 정몽준, 노무현 후보 단일화, 그 이후에 정몽준 후보와 노무현 후보의 선거 전날 결별 등 이런 일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전달되면서 우리가 뒤집어지는 것을 똑똑히 경험을 했다"며 "지난번 6.2지방선거 때도 디지털의 무서움을 절감했다"고 토로했다. 안 대표의 설명대로 지난 2002년 대선은 디지털에서 승부가 갈렸다.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는 대선 막판까지 대세론을 구가하며 당선을 예약해뒀지만 노무현 당시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인터넷 여론의 막판 결집에 역전승을 허용했다. 6.2지방선거 역시 마찬가지였다. 천안함이라는 안보 이슈를 호재로 삼아 지방선거 대승을 꿈꿨지만 막상 투표함 뚜껑을 열어보니 인터넷 공간에서의 무상급식 담론에 대한 열성적인 지지와 트위터 등을 통한 젊은층의 투표 참여 열기로 패배했다.인터넷 공간에서 힘의 불균형은 안 대표도 시인하고 있다. 안 대표는 "좋게 말하면 진보세력들이고 나쁘게 말하면 좌파세력들인데 여하튼 이 진보세력들이 디지털부분에서 압도하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며 "우리가 적어도 이것을 균형을 맞출 수 있어야 되지 않겠는가. 우리가 어떻게 하든 1년간 디지털 지도자들을 많이 양성해서 진보세력들과 비슷한 수준까지는 가야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나아가 "내후년에는 오히려 압도하는 정도로 나아가야 된다. 여기에 대해서 우리는 투자도 많이 할 것이고 모든 당의 정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학만 당 온라인대변인은 이와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촛불시위 등 이슈 근원지는 인터넷 기반의 뉴미디어"라며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승리를 위해 디지털을 통한 피나는 체질 개선과 소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대변인은 디지털아카데미 개원과 관련, "국회의원은 물론 보좌진과 당직자들에게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분야에 디지털 실무역량을 강화하는 전초기지로 삼을 것"이라며 "내년초에는 인터넷방송국을 신설해 당의 주요 회의 등 콘텐츠를 외부로 공개하는 한편 당 외곽의 피드백을 충실하게 반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곤 기자 skzer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