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중소기업청이 어제 청년창업 종합 지원대책을 내놓았다. 기술과 지식, 정보기술(IT)응용 등 3대 유망 분야에서 2012년까지 청년 창업자 3만명을 키워낸다는 게 골자다. 기술 창업은 대학 및 연구기관이, 지식 창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정보기술응용 창업은 관련 기업들이 함께 지원에 나선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바탕으로 한 청년창업은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대책은 바람직하다. 또 청년창업을 통해 8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니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일거양득인 셈이다. 하지만 목표 수치를 정해놓고 자금을 지원한다고 해서 청년창업이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실적에 급급해 옥석을 가리지 않고 자금을 쏟아붓는다면 자칫 10여년 전 IT버블의 전철을 되밟을 우려가 있다. 창업 자금을 지원하는 것 못지않게 규제 완화를 통해 창업환경을 개선하고,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자생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정부는 벤처창업 1세대인 안철수 KAIST 석좌교수의 말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그는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라도 우리나라에 와서 사업을 하면 성공하기 힘들다"고 했다. 실력보다는 학력을 중시하는 사회, 한 번 실패하면 다시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환경, 중소 벤처기업의 핵심 기술을 빼내가는 대기업이 존재하는 현실에서 누구라도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안 교수의 말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인재풀을 육성하고 실패해도 재도전을 장려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국판 애플'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창업자 연대보증채무 완화, 재도전 벤처기업 지원, 기업회생절차 간소화 등을 검토하기로 한 것은 옳은 방향이다. 젊은이들의 도전적 벤처 정신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하다. 벤처기업협회에 따르면 전체 벤처기업가 중 1999년 58%에 달했던 20~30대 비중이 지난해에는 11.9%로 격감했다. 젊은이들이 공무원, 의사, 변호사, 교사 같은 안정적인 일자리에 몰리면서 스펙쌓기에만 골몰하는 세태가 드러난 결과다. 젊은이의 도전정신이야 말로 경제를 이끌어 가는 원동력임을 일깨울 필요가 있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