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親서민 행보 본격 나섰다..'항상 서민 생각하라'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를 맞으면서 '서민'과 '중소기업'을 국정운영의 최대 화두로 꺼집어냈다. 새 참모진에 던진 첫번째 메시지도 '서민경제'였다. 이 대통령은 오랜만에 민생현장을 찾으면서 이같은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이 대통령은 22일 서민들을 위한 미소금융 현장을 직접 방문해 대출상담을 하면서 대기업 캐피탈 회사들을 강력하게 비판하며, '친서민 행보'에 나섰다.이 대통령은 진동수 금융위원장으로부터 캐피탈 회사 이자율이 40~50%에 이른다는 말을 듣고 "이자 많이 받는 것 아니냐. 금융위원장, 사채하고 똑같잖아. 사채 이자 아니냐"고 따져물었다.그러면서 "간판도 없는 사채업자나 많이 받는 줄 알았더니 캐피탈 같은 데서 이렇게 이자 많이 받는 줄 몰랐다. 이 사람들이 구두 팔아서 40% 넘는 이자를 어떻게 갚나. 일수 이자보다 더 비싸게 받아서 어떻게 하나"라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큰 재벌에서 이자를 일수 이자 받듯이 이렇게 받는 것은 사회정의상 안맞지 않느냐"면서 "이렇게 높은 이자를 받고 캐피탈이 돈을 빌려준다는 것은 상상하지 못했다. 내가 현장을 제대로 몰랐다는 것과 똑같다"고 덧붙였다. 이 대목에서는 스스로 자성하는 듯한 뉘앙스도 풍겼다.
이 대통령은 지난 19일 신임 수석비서관과의 첫 회의에서 "궁극적으로 비서실이 역할을 잘해서 '선진 대한민국', '선진 일류국가' 목표 달성하자"면서 "이 목표의 중심에는 항상 서민을 두고 서민 경제살리기에 집중하라"고 말했다.그러면서 "국정 3대 목표도 서민이나 약자를 염두에 두고 살펴라"며 "첫째 다같이 잘사는 국민, 국민이 골고루 잘 사는 것이다. 이미 잘 사는 사람은 혼자서도 잘 한다. 약자, 서민, 젊은이 등 일자리는 전략적으로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도 이 대통령은 "서민정책에 대한 보완, 점검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53개의 (미소금융) 지점이 개설되어 있는데 은행 지점 내듯 좋은 사무실, 거창한 사무실을 만들려니 (지점개설이) 더디고, 서민들의 접근이 어렵다. 재래시장 상인, 소상공인들이 접근하기 쉽고, 이 분들의 눈높이에 맞춰 지점을 개설하라"고 지시했다.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3기 비서진들이 오고 국무회의에서 주신 메시지가 서민경제 살리기였다"며 "국무회의에서 2·4분기에 각종 다양한 업무 보고를 받으셨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에서 미소금융 관련해서 아주 정확한 메시지를 줬다"고 전했다.이날 현장방문도 서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이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점검해보겠다는 뜻을 담은 것이다. 조만간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나설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경제회복과 함께 대기업은 상당히 좋아졌는데 중소기업은 아직 회복됐다고 보기 어렵다. 청년 실업도 이와 관계가 있다"면서 "서민경제와 함께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내놓을 것"이라고 알렸다.이 대통령이 현장방문에서 "과거에 비하면 인프라가 잘 깔리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사회격차가 점점 심해지지 않나"라며 "대기업은 몇 천억 원 이익 났다고 하는데, 없는 사람들은 죽겠다고 하니까 심리적 부담이 되지않느냐. 그래서 대기업들도 (정부가) 하라니까 하는 게 아니고 사회적 책임을 느껴야 된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앞서 국가조찬기도회에서 "경기가 점차적으로 나아지고 있지만 서민은 아직도 그 온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며 "경제가 좋아져서 서민살림살이가 좀 나아지고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최근 논란이 됐던 총부채상환비율(DTI)를 두고 청와대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것도 'DTI 완화가 과연 서민들을 위한 정책이냐'라는 문제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이 대통령이 친서민 정책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부동산 활성화 정책도 초점을 집없는 서민들과 실수요자에 맞춰야 한다"며 "이런 맥락에서 DTI 완화는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조영주 기자 yjch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