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만개 판매 드링크 요구르트 새바람

매일유업 마시는 퓨어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낮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완연한 여름이다. 이럴 땐 자칫 건강을 해치기 일쑤다. 입맛이 없고, 밖에 나가면 자외선 노출로 피부암 등 불안감도 커진다. 자외선차단 크림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다. 그런가하면 식음료 업체들은 여름철 특수를 겨냥한 시원한 음료 출시에 나서고 있다. 또 건강을 위해 비타민 제품을 리뉴얼 본격적인 시장공략에 나서는 기업도 있다. 매일유업(대표 최동욱)이 지난 4월 출시한 무첨가 순수 요구르트 '마시는 퓨어' 3종이 요구르트 시장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마시는 퓨어'는 현재 하루 평균 20만개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올 연말까지 매출 700억원, 드링크 요구르트 시장 내 점유율 2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같은 퓨어의 인기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춰 과감한 투자를 한 게 힘이 됐다. 매일유업은 제품 개발을 위해 지난 3년간 프로젝트팀을 운영하며 20억원 이상의 개발비를 투자했다. 또 30대 주부를 대상으로 50여 차례의 선호도 실험을 하는 등 다각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기존 요구르트에 사용돼 오던 안정제, 합성향 등을 넣지 않아도 기존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과정에서 수백 차례의 배합실험,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정통 생산방식의 요구르트를 만들기 위해 60억원을 투자해 최신 설비를 도입했다.  그 첫 결과물로 지난해 6월 선보인 떠먹는 요구르트 '바이오거트 퓨어'는 전체 요구르트 시장 내 7~8%에 불과했던 플레인 요구르트 시장을 20%로 2배 이상 확대하는데 일조했고, 올해 초 생산라인을 증설하는 등 시장 진출 6개월 만에 국내 플레인 요구르트 시장 1위를 달성했다.  매일유업은 '바이오거트 퓨어'에 이어 두 번째 결과물로 소비자들이 불안하게 생각하는 색소, 안정제, 합성향 등을 전혀 넣지 않은 드링크 요구르트 '마시는 퓨어'를 출시했다.  아울러 매일유업은 수 십 개의 포장용기를 제작하고 폐기하는 절차를 거쳐서 가장 손에 쥐기 좋은 약간의 곡선이 있는 호리병 모양을 만드는 등 용기디자인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마시는 퓨어'에는 1ml당 1억마리 이상의 유산균이 함유돼 있으며 특히 LGG 복합유산균이 10억마리 이상이 들어 있다. 특히 LGG유산균은 세계에서 권위있는 논문만 481편(2009.11기준)이 발표될 정도로 그 우수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유산균으로 핀란드 발리오사에서 독점 생산해 캡슐처리 없이도 위산과 담즙에 살아 남는다. 이 외에도 BB-12, LA-5, ME-3, L.431 등 4종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함유돼 있다.  아울러 기존 일반 요구르트의 텁텁한 맛을 개선해 개운하고 깔끔한 맛을 구현해냈고 뉴질랜드산 사과, 미국산 콩코드 포도 등 고품질의 과즙을 함유하여 신선한 과일 맛을 유지한다. 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