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일단 안도..하지만 여전히 불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이명박 대통령이 24일 천안함 침몰 대응조치와 관련 대국민담화를 통해 "개성공단 문제는 특수성을 감안해 검토해나가겠다"고 말했다.이와 관련 개성공단 관계자들은 예상했던 결과라는 분위기 속에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이날 이 대통령의 담화는 개성공단을 당장 폐쇄하거나 상주인력을 철수하기보다 향후 사태 변화를 지켜보겠다는 뜻으로 읽힌다.특히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남·북간 교역과 교류는 중단하겠다"고 밝혀 북측에 압박 수위를 높이는 한편, 향후 최종적인 수단으로 개성공단 폐쇄라는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 대응수위를 조절한 것이라는 분석이다.또 현재 121개 개성공단 입주 기업 가운데 100여개 업체가 가입한 경협보험금에 대한 부담도 정부가 개성공단 철수에 선뜻 나서지 못한 이유라고 일부에서는 보고 있다.북측 역시 개성공단이 주요한 외화벌이 수단이자 개성 및 인근 주민 등 10만명이상의 생계유지 수단으로 당장 폐쇄가 쉽지 않아 보인다.반면 개성공단 철수에 대한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지난해처럼 일방적으로 북측에서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상주인력을 억류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공단 관계자는 "철수하기보다 상황이 변하는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개성공단 사업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한 이상 긍정적으로 해결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오현길 기자 ohk0414@<ⓒ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오현길 기자 ohk0414@ⓒ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