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원 수출하면 국내 부가가치 533원'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우리 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국내 부가가치 창출 효과는 오히려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중심 경제구조 탓도 있지만 환율과 수입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탈피해 서비스업 등 내수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08년 산업연관표 작성결과'에 따르면 수출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533으로 집계됐다. 수출의 부가가치유발계수 0.533은 1000원 어치를 수출했을 때 533원이 국내 부가가치(임금, 영업잉여)로 창출되지만 나머지 467원은 원자재 등 수입에 사용돼 해외로 빠져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수출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00년 0.633, 2005년 0.617, 2006년 0.609로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반면 수입유발계수는 2007년 0.400에서 0.467로 높아졌다. 수출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떨어진 것은 환율과 수입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이 컸는데 2008년 연평균 환율은 18.7%, 원유 가격은 37.6%, 기타원자재가격지수는 7.5% 상승했다. 환율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석유ㆍ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의 가격인상으로 이어져 국내 물가를 끌어올리고 전체적인 부가가치율을 하락시켰다.전 산업 평균 수입투입률은 17.0%로 전년보다 3.4%포인트 상승했으며 제조업의 수입투입률은 26.4%로 3.8%포인트 높아졌다. 수입투입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 산업의 부가가치율은 36.8%로 3.3%포인트 낮아졌다. 1000원 어치를 생산할 때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368원이라는 뜻이다.산업구조 비중은 제조업이 48.8%로 2.3%포인트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은 38.4%로 2.0%포인트 감소했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업 비중은 우리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보다 10%포인트 가량 낮다.이우기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부가가치가 낮아진 것은 가격요인과 함께 금융위기 이후 민간소비지출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며 "이로 인해 부가가치율이 낮은 제조업 비중이 확대되고 서비스업 비중이 낮아지면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한편 수출증가로 최종수요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4.6%로 4.5%포인트 늘어났고 민간소비지출과 고정자본형성은 각각 3.3%포인트, 1.4%포인트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와 문화ㆍ오락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줄었다.김민진 기자 asiakm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민진 기자 asiakm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