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계 '금융기관과의 CB공유 말도 안돼'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양석승 대부금융협회 회장은 23일 "서민금융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대부업체의 신용정보(CB)가 논의되고 있지만 이는 시장의 위축과 함께 금융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양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제1차 서민금융포럼(대부금융업 CB의 현황과 방향)'을 통해 "CB공유는 금융기관들의 배만 불릴 뿐 정작 금융소비자들의 피해는 더욱 확산될 것이 자명하다"고 비난했다. 따라서 대부업체에 상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심상돈 원캐싱 대표는 "고신용자의 경우 CB공유를 통해 대출한도 상승 등의 혜택이 있지만 저신용자의 경우 대출한도 축소 등 부정적 측면이 많아 비공개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며 "다만 불량고객의 과잉대부를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불량고객 정보와 연체정도 등의 불량정보만은 공유하는 것으로 제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현재 대부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신용정보(NICE)에 등록된 대부업체 이용자 76만9869명 중 48만1550명(62.5%)이 여신금융기관과 중복거래를 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정보(KIS)의 경우 52만7212명 가운데 34만1622명(64.8%)이 중복 이용자로 집계됐다.심 대표는 "대부업계와 금융기관과의 중복거래 고객이 64%에 달하는 상황에서 CB가 공유된다면 금융기관에 대출한도 축소, 만기연장 거절, 회수 등의 불이익이 예상돼 고객의 불이익 방지를 위해서라도 CB공유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김규한 상명대 교수는 "이론적으로 CB공유 확대는 고객에 대한 독점력을 소멸시켜 금융기관간 경쟁을 촉진해 금리 인하 등의 효과가 있다"며 "그러나 사생활 침해의 문제도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피력했다. 한편 정부는 10월부터 국내 70여개 대형 대부업체간에는 CB를 통합해 대출잔액과 연체액 등 대출정보를 공유하고, 3개월 이상 연체정보에 대해서는 제도권 금융회사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3개월 이상 연체정보 외에도 대출잔액과 연체금액 등 대출 관련 정보를 제도권 금융회사와 공유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이광호 기자 kwan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이광호 기자 kwang@<ⓒ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광호 기자 kwan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