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광복절 전후 개최...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 의견 높아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대한민국 경제리더들은 여야의 유력 정치인들 중에서 2012년 차기 대권에 가장 근접한 인물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꼽았다. 아시아경제가 25일 국내 대표적인 경제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0%에 육박하는 59명이 박 전 대표를 선택, 다른 후보들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했다.차기 주자에 대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은 30%대 중후반 수준으로 나타나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의 정면충돌도 마다하지 않은 등 세종시 정국에서 나타난 갈등상도 차기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서는 전혀 걸림돌이 되고 있지 않고 있는 셈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지지도가 높았던 박 전 대표가 경제전문가 집단 내부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은 점은 주목할 만하다. 2위는 11명이 응답한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 3위는 7명이 응답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었다. 정운찬 국무총리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각각 1명이 응답했고 기타 8명이었다. 특이한 점은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 정세균 민주당 대표,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 등 여야의 잠룡들은 단 1명의 응답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반면, 차기 도전 의사가 없다고 밝혔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현역 정치인이 아니지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야권 후보군으로는 비교적 선호도가 높아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연내 개최 가능성을 언급했던 제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시기와 관련, 절반에 가까운 44명이 광복절 전후를 최적기로 꼽았다. 이어 '6월 지방선거 이후'(21명),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18명), '11월 G20 정상회의 전후'(10명), '6월 지방선거 이전'(3명) 등의 순이었고 기타 4명이었다. 또한 남북정상회담 개최 장소로는 47명이 서울을 꼽았다. 이는 2000년과 2007년 1,2차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열렸던 점을 감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남한 답방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제주도(21명), 개성(13명), 금강산(8명), 평양(6명) 등의 순이었고 기타 5명이었다. 제주도는 김 위원장의 경호 문제와 남한 답방이라는 명분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개헌 과정에서 불거질 권력구조 개편 방향과 관련, 대통령 4년 중임제(68명) 선호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현행 대통령 5년 단임제 하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레임덕 현상 방지와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 대통령 4년 중임제를 도입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또한 현행 대통령 5년 단임제를 그대로 유지하자는 의견도 18명에 달했다. 개헌 논의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데다 개헌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혼란을 우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분권형 대통령제 12명, 기타 2명의 순이었다. 아울러 내각제의 경우 응답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북한의 격변사태에 따른 남북통일의 시기와 관련, ▲ 2016~2020년 ▲ 2021~2025년 사이에 이뤄질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28명으로 가장 많았다. 2031년 이후로 예상한 의견은 21명, 2026~2030년은 18명이었다. 아울러 향후 5년 내인 2015년까지 통일이 긍적적인 의견도 5명이었다. 통일준비와 관련, 남한이 가장 서둘러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는 조사대상자 3분의 2에 해당하는 66명이 '탄탄한 경제력'을 꼽았다. 이는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 이를 감내할 수 있는 경제력이 무엇보다 우선이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통일에 대비한 정치ㆍ행정구조 변화 논의(22명), 주변 강대국과의 외교관계 개선(5명)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치안 체제 확보(4명) 등의 순이었고 기타 3명이었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