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 대형·글로벌화 능사 아니다'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우리 금융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형화나 글로벌화가 바람직하나 위험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심포지엄에서 국내 금융회사의 대형화와 글로벌화를 놓고 찬반양론이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국내금융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발제를 맡은 이병윤 금융연구원 연구실장은 "정부소유 은행의 민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우리지주의 민영화를 우선 추진하는 등 산업은행은 재무구조 및 수익구조 개선과 체질개선 후 민영화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것이다.이 연구실장은 "은행의 안정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경영효율화 노력 등 국제적 자본규제 강화에 대비해 내부유보 확보와 보통주 증자 확대 등 자본의 질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신보성 자본시장연구원 금융투자산업실장도 "우리나라의 경우 대형 증권사가 없어 저가 출혈경쟁에 몰두하는 등 저부가가치 중심의 사업구조로 인해 해외 투자은행들이 고부가가치 업무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지원을 통한 대형 증권사 출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형화나 글로벌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았다. 이는 우리 금융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금융산업의 선진화 방안에 대한 검토와 논의를 본격화할 필요는 있지만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이인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비교적 안전했던 것은 국내 금융회사들의 글로벌화가 덜 되었던 점도 있다"며 "내부 역량이 갖춰지지 못한 현 상황에서 인위적인 인수합병(M&A)으로 거대 금융기관이 나오면 대마불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특히 국책은행을 민영화하지 않고 합병한다면 이는 주인 없는 대형은행을 만드는 결과를 초해할 뿐"이라고 꼬집었다.이어 장경덕 매일경제신문 논설위원도 "금융선진화의 비전을 구체적인 현황에 비롯해 철학이나 원칙, 개념에 대한 정리가 부족하다"며 "국내 금융회사 가운데 글로벌 플레이어가 나온다면 도덕적해이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따른 해답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홍영만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 역시 "은행의 영업환경이 조금씩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의 글로벌화는 문제가 있다"며 "글로벌화는 말은 쉽지만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