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3일 신임 국무총리에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을 내정했다. 또한 법무, 국방, 지식경제, 노동, 여성부 등 5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고 공석 중인 특임장관에 주호영 한나라당 의원을 기용하는 9.3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 개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이 대통령이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강조해왔던 국민통합과 중도실용의 기조가 잘 녹아났다는 점이다. 이번 개각의 백미는 역시 국무총리다. 충청 출신의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이 내정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 이 대통령은 연말연초 국회 입법전쟁과 노무현 전 대통령 조문정국에서 극명하게 나타난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이념, 지역적 대립을 완화하기 위해 이번 개각의 핵심 기조를 화합과 탕평으로 삼아왔다. 현 출범 이후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인맥)' 또는 'TK(대구·경북)독식 논란'으로 상징되던 인사난맥상을 극복하지 않고는 집권 중반기 안정적 국정운영이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앞서 유력 총리후보 1순위로 심대평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줄곧 거론돼온 것도 같은 이유다. 정운찬 신임 국무총리 내정자는 충청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화합의 의미는 물론 우리사회의 고질적 이념갈등을 봉합하겠다는 의미도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와 국장을 전후해 우리사회에 나타난 화해와 통합의 분위기를 확산시키겠다는 것. 정 내정자는 지난 2007년 대선정국 당시 여권의 비노 단일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됐다. 실제 대통합민주신당 내부에서는 지리멸렬한 대선구도를 역전시키기 위해 정 내정자를 영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당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과거 자신의 잠재적 라이벌을 총리로 끌어앉은 셈이다. 아울러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정 내정자를 차기 주자로 염두에 두고 발탁했다는 설도 나온다. 국무총리를 맡게 되면 임기말 대선 국면에서 유력 차기주자로 떠오르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참여정부에서도 이해찬,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 경선에 나선 바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차기 독주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 내정자의 발탁을 통해 친이 진영의 차기주자군을 보다 폭넓게 한다는 것. 이와함께 이번 개각은 지역화합의 의미뿐만 아니라 여의도 달래기 성격도 강하다. 이 대통령은 여의도 정치를 고비용 저효율의 전형으로 평가했다. 이때문에 취임 이후 여의도와는 줄곧 불편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한나라당에서는 지난해 촛불시위와 올초 용산참사,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정국 등 주요 고비 때마다 개각이 요구하며 정치인 입각을 주장해왔다. 당청간 소통강화와 책임정치 구현, 내각의 정무적 판단능력 강화를 위해 정치인의 대거 입각이 필요하다는 것. 하지만 이 대통령은 여의도 정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거두지 않았다. 전체 국무위원 중 정치인은 조각 때는 1명도 없었고 이후 개각을 거쳐 고작 2명으로 늘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지난해 7월 입각한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의 경우 여성 배려라는 점을 분명히 했고 한나라당 비례대표 출신의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입각 역시 전문가 발탁이라고 밝혀왔다. 그만큼 정치인 기용에 부정적이었던 것. 이 대통령은 그러나 선거구제와 행정구역 개편 등 정치개혁 과제와 친서민 및 중도실용 정책의 추진을 위해 국회의 강력한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집권 중반기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 강한 추진력과 함께 여론에 민감한 정치인의 발탁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인식을 바꿔갔다. 최근에는 한나라당 의원들과 소통행보를 강화하면서 여의도 정치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보여줬다. 당초 이번 개각에서 정치인 입각은 한두 명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친이 임태희, 주호영 의원과 친박 최경환 의원 등 모두 3명이 입각했다. 특히 이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임태희 노동부장관 내정자와 주호영 특임장관 내정자는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됐다. 임 내정자는 노동계의 고질적 현안인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는데 강한 추진력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 내정자 역시 특유의 성실성과 친화력을 바탕으로 대야관계와 당청소통 강화는 물론 이 대통령이 부여하는 주요 현안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친박 최경환 의원의 입각이 가지는 상징성도 크다. 지난 대선후보 경선 이후 고질화된 '친이 vs 친박' 계파 갈등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중대한 걸림돌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장기적으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의 관계회복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