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유럽시장 잡고 글로벌 톱 도약

LG전자가 'IFA 2009'에서 양대 가전제품인 드럼세탁기, 냉장고 등 전략제품을 대거 공개하며 2012년에 프리미엄 드럼세탁기 시장(600유로 이상)에서 점유율 10%로 3대 브랜드 진입, 냉장고 시장점유율 10%로 유럽시장 톱 브랜드로 도약하는 등 유럽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br /> <br />

LG전자가 세계 최대시장인 유럽시장을 발판으로 글로벌 톱 메이커로 성장하겠다는 야심찬 전략을 내놨다. LG전자는 2일 2012년에 프리미엄 드럼세탁기 시장(600유로 이상)에서 점유율 10%를 차지해 3대 브랜드로 진입하고, 냉장고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해 유럽시장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또 HA(Home Appliance)사업본부 매출의 10%인 유럽 매출액을 매년 10%씩 성장시킬 방침이다.이를 위해 ▲대용량·친환경 기술력을 갖춘 드럼세탁기 라인업 확대 ▲고효율 냉장고로 프리미엄 시장 공략 강화 ▲주요 유통거래선과 전략적 제휴 강화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개선 등 4대 전략을 중점 추진한다.HA사업본부장 이영하 사장은 “유럽시장은 전세계 3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가전시장으로, 북미와 신흥시장에 이어 LG전자가 정복해야 할 전략시장”이라며 “친환경 기술력, 디자인 등 유럽공략 준비를 완료한 만큼 2012년 세탁기와 냉장고의 세계 1위 석권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세탁기와 냉장고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각각 브랜드 매출액 기준 점유율 10%대로 1위에 올랐고 전체 매출액 기준 3위를 지키고 있다. LG전자는 유럽 표준 크기인 가로 24인치(61cm) 중 세계 최대 용량 11kg을 구현한 드럼세탁기를 ‘IFA 2009’에서 최초로 공개한다.이 제품은 고정형 드럼방식의 새로운 구동 시스템을 적용해 외관의 크기는 동일하면서도 내부 드럼통 용량을 키워 세탁용량을 9kg에서 11kg로 키웠다.또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인버터 다이렉트 드라이브(Inverter Direct Drive)’의 속도 제어 기술을 활용, 옷감 굴리기 흔들기 등 다양한 세탁 응용 동작이 가능하다.이로써 유럽 에너지 효율 A 등급 보다 20% 효율이 높은 ‘A++’등급을 구현하며, 옷감 손상과 세탁시간을 줄이고 소음도 업계 최저인 ‘54데시빌(Db)’로 낮췄다. 올해 들어 LG세탁기는 포르투갈 그리스 헝가리 체코 핀란드 등에서 톱(Top) 3에 처음 진입했다.이와 함께 동일한 외관 크기 중 최대 용량인 617리터급을 구현한 양문형 냉장고를 선보인다. 이 제품은 전세계 주방가구 표준 깊이인 610mm로 줄인 ‘카운터 뎁스(Counter Depth)’를 만족시키며, 초박형 단열 부품과 ‘초절전 3세대 리니어 컴프레서(Linear Compressor)’ 등을 적용해 에너지효율 ‘A+’ 등급을 구현한다. 또 야채실은 이중 밀폐 박스 및 에어 펌프 기능을 적용, 86%까지 수분을 지켜줘 음식물을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관련 LG전자는 프랑스 스페인에서 냉장고 시장 1위에 오르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유통 거래선 강화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영국의 최대 전자제품 유통업체인 ‘DSGi(Dixon Stores Group International)’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체결,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 규모가 큰 시장을 중심으로 전략 유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해당 유통의 판매동향 및 재고현황을 공유하고, LG전자는 정확한 수요예측을 통해 적기 공급함으로써 상호 윈윈(Win-Win)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공급망 개선을 위해 유럽 국가별로 산재된 물류기지를 핵심 권역별 통합 운영함으로써 2012년까지 재고일수를 전년 대비 30% 개선, 적시 배송률(OTD;On-Time Delivery)을 전년 대비 3배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