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체온계 비용 지원·학원도 손소독제 비치

신종플루 확산에 따라 전교생 발열 체크, 손씻기 강화 등 학교 위생관리 등 긴급 대책을 내놓은 정부가 학원과 대학의 확산방지를 위한 대책도 잇따라 마련했다. 각급 학교에서 체온계 확보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체온계 구입을 위한 예비비를 긴급 지원키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8일 '학교 신종플루대책 상황실'을 확대, 설치하고, 초·중등학교와 대학, 학원 등 대상별로 대응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초·중등학교에서는 27일부터 등굣길 체온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 체온계 확보 등 준비부족으로 검사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일자 교과부는 27일 오후 16개 시·도부교육감 회의를 소집해, 학교별로 적정수량의 체온계를 확보하도록 조치했다. 체온기 확보를 위해 서울교육청 5억2000만원, 울산교육청 5억원, 강원교육청 6억4000만원, 충남교육청 6억원, 경남교육청 4억7000만원 등 예비비 긴급지원을 완료했고, 나머지 11개 교육청은 주말까지 조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체온계 확보가 완료되는 다음주 부터는 모든 학교에서 발열체크가 제대로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학원가가 신종플루 감염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학원연합회에 ▲학원내 손소독제 비치 ▲학원내 환자발생시 대응요령 ▲발열감시 및 환자신고를 철저히 할 것을 협조 요청했다. 교과부는 특히 신종플루 관리가 체계적인 대형 학원보다는 중ㆍ소 규모 학원이 수입 감소 등을 우려해 학원생의 감염 사실 등을 감출 수 있다고 보고 적발 땐 전염병예방법 등에 따라 강제 휴원이나 폐원 등의 제재를 할 방침이다. 본격적인 개강을 앞두고 있는 대학에도 자체 대책반을 마련토록 했다. 이날 오후 2시 교과부는 질병관리본부와 합동으로 대학보건소 관계자와 학생과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회의를 열고, 대학별로 대책반을 마련해 입시 휴업·휴교 결정, 학생·학부모 교육 및 홍보 등의 업무를 맡도록 했다. 또 외국인 유학생과 해외유학 귀국 학생은 매일 발열 상담을 하라고 요청했다.아울러 자체 대응 계획을 세우되 반드시 신종플루 감염에 취약한 외국인 유학생 관리 계획과 대학 기숙사 방역 대책, 그리고 환자 발생 시 격리 방안을 포함하라고 강조했다.교과부 관계자는 "학교 신종플루대책 상황실을 통해서 초·중등학교, 대학, 학원 등의 신종플루 감염현황 파악을 계속하고 중앙인플루엔자 대책본부와 공조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며 "휴교나 개학연기 사태에 따른 수업결손 대책 마련을 위해 담당장학사를 대상으로 31일 사이버 가정학습 활용 방안 등에 대해 회의를 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신종플루 확진 판정을 받은 고3 학생이 학교 교실에서 다른 학생들과 함께 중간고사를 치른 사실이 알려지자, 교과부는 감염 학생을 격리해 시험을 치르도록 하되 불이익이 없도록 하기로 했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